김명실 연구원은 5대 주요기관(외국인, 기금, 보험, 투신, 은행)의 1분기 국고채 총 누적 순매수는 53조원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금리 상승에도 불구하고 2월 이후 은행과 기금, 그리고 외국인의 매수세가 강하게 유입되며 시장 금리 상단을 제한했다고 평가했따.
다만 제약요인도 만만치 않다고 밝혔다. 2분기 중 초장기 구간 발행물 증가, 환 프리미엄 여건 악화, 위험자산 선호 및 자산배분 방향 변화 리스크가 잔존해 있다고 진단했다.
발행 부담이 높아진 상황에서 약화된 수요 재료가 노출될 경우 금리 상승 부담은 높아질 수 밖에 없다고 봤다.
금통위 시사점은 크게 2가지라고 진단했다. 물가 큼 강조되는 경기회복 기준은 고용이라는 점과 일시적 인플레 상승으로 통화정책 기조를 변경하기는 어렵다는 점이라고 밝혔다.
김 연구원은 "국내와 경기 여건이 비슷한 호주, 뉴질랜드 등 소규모 개방경제 국가의 통화정책 방향과 궤를 같이 할 것"이라며 "불평등과 양극화를 심화시키는 경제위기의 속성을 재확인한 만큼 한국은행의 경기회복 인식 변화가 당장 확인되기는 어렵다"고 진단했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