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혜현 연구원은 "2021년 공사채 순발행은 2020년 대비 늘어날 수 있겠으나 큰 폭의 순증은 어렵다"면서 이같이 진단했다.
정부가 2020~2024년 공공기관 중장기 재무관리 계획을 전년과 유사하게 발표한 가운데 발행 증가 예상에도 불구하고 채권이 대폭 늘어나긴 어렵다는 것이다.
전 연구원은 "2021년에도 공공기관들의 부채비율 관리 노력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그는 "일반 공사채는 공사채 총량제 폐지에도 공공기관들의 재무건전성 관리가 이어지면서 순상환됐으나 2020년 들어 SOC 투자 및 코로나19 대응 등의 영향으로 순발행 전환했다"고 밝혔다.
그는 "MBS를 제외하고 5.2조원 순발행을 기록했다"면서 "이는 중소기업진흥공단, 도로공사, 전력공사 등 일부 기관에 국한된 순발행이며, 발행 확대 가능성이 제기됐던 한국토지주택공사는 아직까지 차환 수준이며 예금보험공사도 순상환 기조를 이어가는 등 공공기관 전반에 걸친 발행 확대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9월 초 발표된 2021년 예산안에서는 SOC 및 에너지 부문의 예산이 전년대비 크게 늘어난 점을 고려할 때 해당 공공기관들의 발행 증가 가능성은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중장기 재무관리계획에서 밝힌 것처럼 건전성이 크게 저하되지 않는 수준에서 투자가 이뤄지면서 일부 기관에 국한된 발행이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2020년 코로나19에 따른 재무적 영향과 SOC 부문 중심의 투자 확대를 고려한다면 공공기관 부채규모와 부채비율 증가는 불가피할 수 있다. 다만 이번 중장기 재무관리 계획에서도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부채비율의 안정적인 관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평가했다.
전 연구원은 이번 계획에서 1) 과도한 사업비 증액 억제를 위한 총사업비 관리 지침 마련, 2) 과도한 차입 관행, 충당부채 등 제도개선을 통한 재무건전성 관리 강화 계획이 추가된 만큼 공공기관 재무건전성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중장기 투자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했다.
기획재정부가 2020~2024년 공공기관 중장기 재무관리계획에서 1)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수입 감소와 지출 증가, 2)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정책금융 지원 등 공공기관의 역할 증대, 3) 한전, LH 등 현 정부가 추진하는 사업과 관련이 있는 주요 기관들의 투자 확대로 부채규모와 부채비율 증가를 예상했으나 2024년에는 부채비율이 171.4%로 안정될 것이라 밝혔다.
전 연구원은 "이는 2019~2023년 계획에서 강조했던 ‘부채비율의 안정적인 관리’에서 크게 바뀌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며, 투자 확대에도 건전성 관리를 지속할 것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 크레딧 캐리 매력과 연휴·분기말 이전의 자금유출
당장 크레딧 스프레드는 전반적으로 변동성이 제한된 가운데 강보합 흐름을 이어갈 전망했다.
전 연구원은 "예대율 및 LCR 규제 완화 연장으로 은행 수급 부담 관련 우려는 완화될 것"이라며 "최근 금리 상승으로 캐리 측면에서의 크레딧채권 투자매력이 더욱 높아졌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여타 정책대비 SPV 지원이 상대적으로 적극적인 것으로 보이는 점도 크레딧 스프레드 추가 확대 가능성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연휴 이전과 분기말을 앞두고 단기자금 유출 우려가 형성되거나 금리가 추가 상승할 경우 금융채를 중심으로 약세 가능성은 있으나 스프레드 확대폭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