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금센터는 "경기 하방 리스크를 고려할 때 연내 추가 금리인하가 필요하지만 8월은 이르다는 의견이 우세하다"고 소개했다.
센터에 따르면 소시에떼 제네랄은 "가계부채 증가세가 둔화한 점은 긍정적이나, 서울 주택 시장이 반등 조짐을 보이고 있고, 과도한 원화 약세를 우려하는 상황에서 7월에 이어 연속으로 금리 인하를 단행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노무라는 "3개월 통안채 금리가 1.27%로 낮아지는 등 시장에서는 금리인하를 어느 정도 기대하고 있으나, 8월에는 금리 동결 가능성이 조금 더 높은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바클레이즈는 "연속 인하를 단행할 경우 위기 국면이라는 신호를 줄 가능성도 있어 8월 인하 확률은 낮다"고 밝혔다.
센터는 그러나 일부 기관들은 국내 성장 둔화, 낮은 인플레이션, 미중 무역 분쟁, 한일 갈등 등을 고려해 8월 선제적 금리인하 가능성도 상당하다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JP모간은 "한국은행은 7월부터 금융 안정보다 거시경제 안정에 주안점을 두기 시작한 것으로 보이며, 대내외 성장 하방압력을 고려하면 10월보다 8월 인하 가능성이 약간 더 높다"고 평가했다.
Continuum Economics는 "한일 갈등 고조와 낮은 인플레이션 전망치를 고려하면, 환율 약세 우려에도 불구하고 한국은행이 7월에 이어 시장의 예상과 달리 금리인하를 단행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