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구 14억을 넘는 중국은 대부분 미 기업에 중요한 시장이다. 제너럴모터스의 경우 중국은 세계 최대 시장으로, 지난해 중국 판매량이 미 시장 전체를 넘어섰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25일자 기사에서 “중국 시장 철수는 미 기업들에 자살행위나 마찬가지”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전미소매업협회는 성명에서 "이같은 영업환경에서는 기업들이 미래 사업계획을 세우기가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주상하이미상공회의소는 “중국 시장 철수는 결코 쉽지 않은 문제”라며 “중국은 한 번에 포기하기에는 너무 거대하고 중요한 시장”이라고 말했다.
마이런 브릴리언트 미 상공회의소 국제담당 부대표는 성명을 내고 "시간이 핵심이다"며 "미중 관계가 더 악화되는 것을 보고 싶지 않다"고 전했혔다.
IT업계 무역협회인 CompTIA는 “미 기업들이 중국에서 철수해야 할 경우 뒤따를 물류 관련 압박이 엄청날 듯하다. 대부분 회사의 경우 중국 철수에 몇 개월은 걸릴 것”이라며 “미 기업들이 강제로 중국에서 나오게 된 다면 큰 혼란이 불가피하다”고 경고했다.
전미소비자기술협회(CTA)는 “이번 관세전쟁을 미국을 대공황으로 몰아넣은, 1930년 스무트홀리관세법 제정 이후 최악의 경제 실수”라고 평가했다.
월마트 등에 물품을 납품하는 바움에식스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스스로를 코너로 모는 이 같은 행태를 내년 미 대선 때까지 이어갈 듯하다”며 “이것이 글로벌 경기침체를 넘어 공황까지 촉발할 수 있다는 사실을 두 사람 모두 전혀 깨닫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 23일(이후 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보복관세에 맞서 미 기업들에 중국 대안을 찾도록 지시한 바 있다. 그는 트위터를 통해 "우리에게 중국은 필요하지 않다. 솔직히 없는 편이 훨씬 더 낫다"며 "이번 지시에는 회사를 미국으로 옮겨 제품을 만드는 일도 포함된다"고 적었다.
이어 24일에는 비상경제권법을 들먹이며 미 기업의 中철수령과 관련한 법적 근거를 제시하기도 했다. 그는 자신의 트위터에 “대통령 권한과 중국 등에 관련된 법에 대한 어떠한 단서도 없는 가짜뉴스 기자들은 지난 1977년 비상경제권법을 찾아봐라. 상황종료!”라고 적었다.
장안나 기자 godblessa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