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한국예탁결제원
15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상반기 전자단기사채(STB:Short-TermBond)를 통한 자금조달 규모는 총 523.9조원으로 전년 동기(574.2조원) 대비 50.3조원(8.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전 반기(543.3조원) 대비 19.4조원(3.6%) 줄어들었다.
일반 전자단기사채의 발행량은 435.1조원으로 전년 동기(504.2조원) 대비 13.7% 감소했다. 반면 유동화 전자단기사채의 발행량은 88.8조원 으로 전년 동기(70조원)대비 26.9% 증가했다.
일반 전자단기사채는 특수목적회사(SPC)를 제외한 일반기업, 증권회사 및기타 금융회사 등이 발행하는 STB, 유동화 전자단기사채는 특수목적회사가 발행하는 AB(Asset Backed)STB / PFAB(Project Financing Asset Backed)STB를 말한다.
만기별로는 3개월 이내 발행량이 522.6조원으로 전체 발행량의 99.7%를 차지했다. 신용등급별로는 A1(474.4조원), A2(40조원), A3(8조원), B이하(1.5조원) 순으로 신용등급이 낮아질수록 발행량이 감소했다.
업종별로는 증권회사(298.4조원), 유동화회사(88.8조원), 카드·캐피탈·기타 금융업(80.8조원), 일반기업·공기업 등(55.9조원) 순이었다.
한편 전자단기사채는 기업이 만기 1년 이하, 1억원 이상 발행 등 일정요건을 갖춰 발행하는 사채로써 전자등록기관을 통하여 발행·유통·권리행사 등을 전자적으로 처리한다. 전자단기사채제도는 기업어음 및 콜시장을 대체하고, 전자적 방식으로 발행·유통·권리행사가 가능한 새로운 인프라를 구축해 단기금융시장과 자본시장의 발전 및 전자증권 도입 기반을 마련할 목적으로 2013년에 도입됐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