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춘영 연구원은 "2분기 들어 중국의 경제 성장세가 예상보다 가파른 둔화를 보이고 있으며, 5월 실물지표 결과로 확인된 소비, 투자 동반 부진은 정부의 정책효과가 약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면서 이같이 예상했다.
그는 "무역분쟁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중국 정부는 성장률 방어를 위한 대안으로 경기부양 기조를 강화할 것"이라며 "무역분쟁 격화 여부와 상관없이 중국은 이미 높은 하방 리스크에 직면해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앞으로 정부는 정책 방향성을 기존 구조개혁에서 보다 친성장으로 옮겨가는 정책변화를 보일 것"이라며 "크게 투자장려 정책을 강화함과 동시에 유동성 공급을 지속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박 연구원은 "중국 경제가 이전보다 정책 의존도를 높여가는 지금 상황은 중국의 경기안정을 기대하기 어렵게 만든다"면서 "따라서 투자자 관점에서는 중국 경제를 바라보는 보수적인 시각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조언했다.
그는 "투자장려 정책에도 불구하고 인프라 투자가 더딘 증가를 보이고 있으며, '불황형 소비' 성격을 드러내는 중국의 소비도 추세적인 회복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