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19년 1분기 자산운용회사 영업실적’에 따르면 올해 자산운용사의 1분기 순이익은 2197억원을 기록해 전년·분기 대비 각각 28.7%, 371.0% 증가했다. 펀드수탁고는 580조8000억원, 투자일임계약고는 473조1000억원으로 작년 말 대비 각각 5.4%, 1.2%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2671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영업비용 감소 등에 따라 1600억원이 증가했다. 영업외이익도 61억원으로 영업외 수익이 29억원, 영업외비용이 195억원 감소하면서 총 224억원이 증가한 모습을 보였다.
회사별로 봤을 때 250개사 가운데 155사가 2426억원의 흑자를 기록했다. 반면 나머지 95개사는 229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지난해와 비교해 적자회사 비율(38.0%)이 1.9% 포인트 감소했다. 그러나 전문사모집합투자업자의 경우는 176사 가운데 77사(43.8%)가 적자를 기록해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부문별 현황을 보면 수수료 수익은 6058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155억원(2.5%) 감소한 반면, 전년 동기 대비로는 31억원(0.5%) 증가한 모습을 보였다. 판관비는 3807억원으로 연말 성과급 등이 반영됐던 전 분기(4548억원) 대비 741억원(16.3%) 감소했다. 증권투자손익은 주식시장의 급격한 악화로 감소했던 전분기 대비 1046억원 증가한 63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3월말 기준 자산운용사의 운용자산은 1053조9000억원으로 작년 말 대비 3.5%(35조2000억원) 증가했다.
공모펀드는 전년 말 대비 12조5000억원 증가해 230조3000억원을 기록하면서 지난해 6월 이후 처음으로 분기 중 증가세로 전환했다. 머니마켓펀드(MMF)가 7조3000억원, 채권형 3조5000억원, 주식형 1조4000억원 등이 증가했다.
사모펀드는 전년 말 대비 17조3000억원 증가했다. 특별자산 4조2000억원, 부동산 3조7000억원, 혼합자산 3조5000억원 순으로 증가세가 지속됐다.
금감원 측은 “전문사모운용사의 적자비율이 43.8%로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며 “최근 미중 무역 분쟁의 장기화 및 국내 증시 불안 등 대내외적 리스크 요인이 잠재돼있다”고 말했다.
이어 “수익기반 취약회사의 재무현황 및 자산운용의 적정성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홍승빈 기자 hsbrob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