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컨대 국회 주변에선 한은의 성장률 전망치 조정 등을 보고 추경 규모를 결정하는 게 낫다는 목소리도 있다.
국회 주변에서 예컨대 "여야 의견대립이 첨예한 만큼 한은 경제전망을 확인한 뒤 추경 규모를 결정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는 것이다.
이번 금통위의 금리동결에 대해선 이견이 없지만, 한은의 성장률 전망 변화 여부 등에 대해선 국회에서도 주시하는 시선들이 적지 않은 것이다.
금융시장에서도 이번 한은의 전망에 대해 정치·정책적 측면해 예상하는 시각들이 보인다.
은행의 한 딜러는 "최근 그린북에서 정부가 경기판단을 낮춘 것은 추경을 위한 포석 때문인 것으로 본다"면서 "한은이 경기가 안 좋다는 점을 어필해줘야 정부의 정책에 힘이 실리는 구도가 됐다"고 진단했다.
그는 "이번 전망에서 확정되지 않은 추경이 반영되기 어렵고, 결국 한은이 성장률 전망을 내릴 수 밖에 없을 듯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한은이 또 다른 정치·정책적 측면을 고려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란 진단들도 보인다.
증권사의 한 딜러는 "한은이 경기가 안 좋다고 하면서 성장률 전망을 내릴 경우 시장이 쏠릴 수 있다"면서 "한은은 현재 시장이 금리인하로 밀어붙이는 것을 원치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한은은 금융불균형과 부동산 문제도 신경써야 한다. 정부는 부동산 규제를 풀 의도가 없다"면서 한은이 경기 스탠스를 크게 낮출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봤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