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락 연구원은 "기대 인플레이션 형성에 유가가 큰 몫을 차지한다"면서 이같이 지적했다.
그는 "최근 금리 하락은 기간 프리미엄을 의미하는 장단기 스프레드 축소까지 동반하고 있는데, 물가에 대한 기대 반영이 없었다면 이처럼 가파른 변화를 보이기는 쉽지 않다"고 밝혔다.
그는 "그간 글로벌 경제를 견인해 온 미국 경제의 퉁화 우려가 부각됨에 따라 통화정책에 대한 밑그림이나 경제 펀더멘털에 대한 전망 자체가 크게 달라지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유가 역시 큰 역할을 했다"고 덧붙였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