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B증권의 김두언 이코노미스트는 24일 "향후 10월 환율보고서와 중국 외환보유액 추이를 주시해야 하지만, 결론적으로 위안화는 추가 약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이코노미스트는 "중국 위안화의 약세 압력과 트럼프 환율개입에 따른 약달러 요인이 혼재되면서 위안화를 위시한 외환시장 전반의 변동성은 보다 확대될 것"이라며 "지난 2015년 중국 정부가 외환보유액을 소진하면서 인위적으로 위안화 약세를 방어했던 사례가 다시 한번 나타날 수 있으며 지금부터는 중국 외환보유액의 추이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위안화 약세 요인으로 구조개혁, 경상수지 적자, 완만한 통화정책 등을 거론했다.
김 이코노미스트는 "하반기 중국 GDP 성장률은 둔화가 불가피하다"면서 "지난 상반기 6.7% 성장에 비해 낮아진 6.5% 성장을 전망한다. 구조개혁의 여파가 산업생산과 투자부진을 야기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중국 경상수지가 적자로 전환했다. 다년간의 부채 축소 과정은 고정투자를 비롯한 실물경기 둔화로 이어졌다"면서 "기업들은 자금난과 함께 디폴트 위험에 노출됐고 이런 과정에서 야기되는 자금이탈 압력을 경상수지 흑자가 상쇄하는 구조였다"고 지적했다.
중국 정부가 부채조정을 강행하면서도 적정한 위안화 수준을 관리할 수 있었던 데에는 경상수지 흑자 기조가 버팀목 역할을 해왔지만 1분기 중국 경상수지는 2001년 2분기 이후 처음으로 341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미국과의 무역분쟁이 장기화 국면으로 접어들면서 수출부진도 점차 확대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중국의 경상수지 흑자기조가 적자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향후 중국 정부의 위안화 관리는 한계에 봉착할 소지가 있다는 것이다.
그는 또 "중국 인민은행 (PBoC)의 추가적인 완화정책이 예견된다"면서 "부채조정 여파에 따른 경기 둔화를 방지하기 위해 중국 인민은행은 지준율 인하를 통한 유동성 공급에 나설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국 연준 (Fed)의 추가적인 금리인상 기대와 반대되는 통화정책 스탠스는 위안화 약세 압력을 높이는 요인이다.
아울러 미국의 강달러 요인도 상존한다고 진단했다.
미국의 견고한 성장률, 연준의 금리 정상화, G2 무역갈등 지속 등이 강달러 요인이라는 것이다.
김 이코노미스트는 "27일 미국 2분기 GDP 성장률은 가계 소비를 기반으로 4%대의 견고한 성장을 예고하고 있으며 미국 연준은 금리 정상화를 이어간다"면서 "트럼프의 견제에도 견고한 경기를 바탕으로 연준은 하반기 2번의 추가 금리인상을 예고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달 안에 중국 수입품에 대한 미국의 2차 160억 달러 상당의 추가 관세가 발효될 예정이다. 중국의 미온적인 대응이 이어지고 있지만, 여전히 G2 무역갈등은 진행 중이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