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론에 앞서 박동선 LH 도시재생계획단장은 ‘공공기관 제안형 도시재생 뉴딜사업 특성과 실행’을 주제로 2017년 새롭게 시작된 공공기관제안사업에 대한 소개와 LH형 도시재생뉴딜사업 및 41개 사업모델에 대해 설명하고 효율적인 도시재생사업 추진을 위한 공공의 역할을 제시했다. 이영은 LH 토지주택연구원 연구위원은 ‘도시재생 실효성 제고를 위한 거점 및 사업관리자 도입 방안’을 주제로 공공기관제안형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실행력을 높이기 위한 현행 활성화지역내 앵커사업이 포함되는 ‘거점’의 도입과 ‘사업관리자’를 연계 운영 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사업관리자의 역할과 관련한 도시재생특별법 개정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안상욱 수원시 지속가능도시재단 이사장도 ‘지방도시 재생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지방 중소도시의 재생 전략 재조정의 중요성과 미래 인구감소를 감안한 과감하고 새로운 사업계획 조정과 실행수단 마련을 강조했다.
전문가 발표 후에는 변창흠닫기


마지막 플로어 토론에서는 현장 경험과 문제 의식, 향후 정책 방향에 대한 조언 등 다양한 의견을 나누며 도시재생 뉴딜의 성공적 실행을 위한 혁신 과제를 공유하였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