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중소기업중앙회
5일 중소기업중앙회는 설을 앞두고 1056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2018년 중소기업 설 자금 수요조사’를 실시한 결과, 중소기업의 47.8%가 자금사정이 ‘곤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자금사정 곤란의 원인으로는 ‘매출감소’(56.9%)가 가장 많았으며 ‘판매대금 회수지연’(35.6%)과 ‘원자재 가격 상승’(31.6%)이 뒤를 이었다. 특히 ‘원자재 가격상승’으로 자금애로를 겪는 기업 비중은 지난해 24.7%에서 6.9%p 크게 증가했다.
중소기업이 설 명절에 필요한 자금은 평균 2억3190만원으로 지난해(2억2340만원)보다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중 부족한 금액은 5710만원으로 필요자금 대비 부족률은 24.6%로 나타났다.
설 자금 수요는 전년대비 850만원 증가했지만, 부족률은 8.1%p 감소해 중소기업의 설 자금사정은 전년대비 다소 개선됐다.
그러나 ‘도매 및 소매업’의 설 자금 부족률은 48.5%로 지난해 39.9% 대비 8.6%p 크게 증가했다. 이는 매출감소와 최근 최저임금 인상 요인이 일부 반영된 것이라는 게 중기중앙회 측의 설명이다.
설 자금 확보를 위해 거래기업에 납품 대금을 조기 회수할 것이라는 답변은 전체의 28.4%였다. 구매 자금 등의 결제를 연기하겠다는 비중도 28%로 나타났다. 별다른 대책이 없다는 중소기업도 15.7%에 달했다.
올해 설 상여금 지급과 관련해선 ‘지급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업체는 56.1%로 지난해(59.8%)보다 3.7%p 감소했다. 반면 ‘지급계획이 없다’ 또는 ‘결정하지 못했다’고 응답한 업체는 28.5%로 지난해(26.5%)에 비해 2.0%p 증가했다.
지급계획이 있는 중소기업은 직원 1인당 평균 72만9000원을 지급할 계획이다. 이는 지난해(72만8000만원)와 비슷한 수준이다. 중소기업 89.2%는 이번 설에 ‘4일 이상’을 휴무할 계획이라고 답했으며 이는 지난해 86.2%보다 3%p 증가했다.
서재윤 중소기업중앙회 정책총괄실장은 “중소기업의 설 자금 사정이 다소 나아졌지만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인건비 상승과 원자재가 상승 등 경영환경의 불확실성 증가로 인해 설 상여금을 지급하는 업체는 지난해보다 감소했다”며 “금융기관이 중소기업에 대한 급격한 여신축소나 대출금리 인상보다는 자금 지원정책을 마련해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신미진 기자 mjsh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