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대한상공회의소.
28일 대한상공회의소는 전국 228개 지방자치단체와 지역기업 8700여개를 대상으로 각 지자체의 기업만족도와 규제 환경을 조사해 작성한 ‘2017년 전국기업환경지도’를 발표했다.
‘전국기업환경지도’는 지방자치단체별 기업 경영여건을 5개 등급(S-A-B-C-D)으로 나눠 평가한다. 평가항목은 지자체 행정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기업체감도’와 지자체의 규제여건과 지원제도를 객관적인 수치로 분석한 ‘경제활동친화성’ 2개 부문으로 구성된다.
전국지자체의 기업체감도 평균점수는 지난해보다 0.4점 상승한 평균 70.5점으로 나타났다. 2014년 69.3점을 기록한 이후 매년 꾸준히 상승한 수치다.
지자체별 평가 등급도 높아졌다. 상위등급(S․A)을 받은 지자체가 올해 처음으로 100개를 넘어 섰다. 하위등급(C․D)을 받은 지자체도 30개로 줄어들어 전체 지자체의 13%에 그쳤다.
지역별로는 ‘울산광역시 동구’가 종합 1위를 차지했다. 개선도 1위는 경북 영덕군으로 지난해 142위에서 116단계 상승한 26위에 올랐다.
최상위등급(S)으로 평가된 지자체가 133개로 전년(49개) 대비 2배 이상 늘었다. 반면 하위등급(C·D)을 받은 지자체는 한 곳도 없었다. 전국기업환경지도 작성을 시작한지 4년 만에 하위등급(C‧D)으로 평가받았던 지자체 모두가 중위(B) 또는 상위등급(S‧A)으로 올라간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전북 완주군이 경제활동친화성 종합순위에서 전국 1위를 차지했다. 개선도 면에서는 지난해 155위에서 135계단 상승해 올해 20위를 기록한 경기도 성남시가 1위로 선정됐다.
완주군의 1위 비결은 ‘기업유치 노력’이다. 완주군은 테크노밸리 2단계 사업을 추진하고 중소기업 전용 농공단지를 신규로 조성하는 등 기업유치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했으며, 전북혁신도시를 통해 공공기관 유치에도 힘쓰는 등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노력했다.
경기 성남시는 지역기업을 위한 다양한 제도개선 활동이 돋보였다. 성남시는 올해에만 기업 관련 조례 12건을 개정했다. 도시형소공인(10인 미만 소규모 제조업) 육성을 위해 산업단지 내 소공인 집적지구 지정을 허용하는 법률 개선을 추진했다. 또 게임기업이 많은 지역특성을 감안해 게임페스티벌을 개최하는 등 맞춤형 기업지원 활동을 펼치기도 했다.
박재근 대한상의 기업환경조사본부장은 “기업환경지도가 공개된 이후 지자체간 우수사례를 상호 벤치마킹하는 등 선의의 경쟁이 이뤄지면서 시너지 효과를 낸 것으로 보인다”며 “정부에서도 ‘고르게 발전하는 지역’을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있는 만큼 지자체와 중앙정부가 함께 노력해 기업하기 좋은 지역여건을 만들어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유명환 기자 ymh7536@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