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이미지투데이
21일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이 올해 1~3분기 제조업 상장사를 대상으로 한 실적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제조업 상장사 누적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11.2%, 77.8%씩 증가한 603.5조원, 542.7조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반도체가 포함된 전기전자업종을 제외하면 매출과 영업이익 증가율은 6.2%, 8.4%인 한 자리수로 떨어졌다. 즉, 반도체 등 특정 업종이 제조업 전체 실적 개선에 크게 기인한 것이다.
전기전자의 경우 반도체 호황 등으로 1~3분기 누적 매출액이 21.5%, 영업이익이 243.8% 증가하면서 전체 제조업 상장사 매출액의 35.6%, 영업이익의 절반 이상(57.0%)을 차지했다.
지난 해 같은 기간의 매출 비중 32.6%, 영업이익 비중 29.5%보다 더 높아졌다. 두 자리 수 증가율을 기록한 전체 제조업 실적도 전기전자업종을 제외하면 한자리 수(매출액 11.2% → 6.2%, 영업이익 77.8% → 8.4%)로 줄었다.

△전기전자 제외한 나머지 제조업 실적 / 자료=한국경제연구원
반면 조선과 자동차는 작년에 이어 올해도 실적이 부진했다. 조선업은 매출 감소에도 불구하고 구조조정의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흑자로 반전되었으나, 2016년 수주 절벽이 향후 실적에 반영될 것으로 예상되며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자동차업은 매출액이 소폭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30.4% 감소했다. 특히 국내 완성차 기업의 주력 생산기지인 미국과 중국에서 주요 기업의 해외생산 및 판매가 감소했다.
보호무역과 글로벌 경쟁 심화에 따른 완성차 실적 부진은 부품 수출 감소로도 이어졌다. 이에 올해 3분기까지 주요 완성차 및 부품기업의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대비 각각 32.2%, 27.5% 급감했다.
송원근 한국경제연구원 부원장은 “올해 1∼3분기 실적이 반등했지만, 일부 업종 편중 효과가 컸다”며 “기존 주력 산업의 회복 및 성장을 위한 펀더멘탈 강화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김승한 기자 shk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