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는 30일 뉴스룸을 통해 “일부 언론사가 SK하이닉스의 감광액 유리병이 깨진 사건을 앞세워 삼성전자에서도 감광액 유출사고가 잦고 유해한 물질이 누출되는 듯이 묘사하고 있다”며 “감광액의 구성성분이 회사 영업비밀을 이유로 공개된 적이 없고, 인체에 유해한지는 정부조차 모른다”고 말했다.
이어 “감광액은 중대 유해물징이 아니며, 감광액 병을 전용 플라스틱 용기로 보호하고 있기 때문에 용기가 깨지는 사고는 매우 희박한 일이다”고 덧붙였다.
삼성전자는 감광액의 구성물질 중에 중대유해물질이 있는지를 2중 3중으로 검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제조사로부터 규제물질이 함유되지 않았다는 보증서를 받고 있으며, 자체 성분검사를 해서 중대유해물질이 검출될 경우 사용을 중단하는 프로세스를 시행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삼성전자 뉴스룸 캡처
특히, 감광액에는 중대 유해물질은 물론 벤젠도 포함되지 않다며 잘라 말했다.
삼성전자는 벤젠 검출됐다는 사실이 보도되자 동일한 감광액을 국내외 공인기관 4곳에 의뢰해 성분을 분석했으나 모두 벤젠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선을 그었다.
뿐만 아니라, 반도체 사업장에서 감광액 유리병이 깨져 유해물질 누출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는 보도에도 정면으로 반박했다.
삼성전자는 “감광액 유리병이 운반도중에 깨지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전용 플라스틱 케이스 및 운반도구를 사용하고 있어, 감광액 유리병이 깨지는 사고가 발생하는 것은 매우 희박한 일이다”고 밝혔다.
또 “감광액을 교체하는 경우 작업자는 방독마스크를 쓰고 배기장치를 사용하는 등 안전보건 작업절차를 철저히 준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측은 설사 유해물질이 검출된 것이 사실이라 해도 검출된 양은 일반 주유소에서 판매하는 휘발유의 1/500 수준이며, 감광액을 교체하는 작업자는 방독마스크를 쓰고 배기장치를 사용하는 등 안전보건 작업절차를 철저히 준수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아울러 삼성전자는 언론에서 과학적인 근거도 없이 반도체 사업을 위험한 사업으로 규정하고 불안감을 조장하는 것에 유감을 표한다고 전했다.
김승한 기자 shk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