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한국경제연구원이 '한·미·일·중 100대 기업의 현금흐름 비교분석'한 결과 한국 100대 기업의 '영업활동현금흐름' 대비 '현금증가분' 비율이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영업현금흐름은 한 해 영업활동의 결과로 기업에 유입된 현금을 의미하며 현금증가분은 영업활동에 투자·재무활동까지 더해 최종적으로 손에 쥐게 된 현금을 뜻한다. 한국의 지난 5년 평균값은 5.63%로 중국(10.34%), 일본(9.49%)보다 낮았으며 미국(1.43%)보다는 높았다.
지난 5년간 한국의 100대 기업은 4개국 중 영업활동 결과로 들어온 돈을 투자에 가장 많이 지출한 것으로 드러났다.
'영업현금흐름 대비 유형자산 투자액'의 2012~2016년 평균값은 한국이 59.18%로 가장 높았으며, 그 뒤를 일본(56.16%), 중국(54.42%), 미국(39.50%)이 이었다. 2015년부터 우리 기업들은 투자 비중을 줄인 대신 부채상환 비중을 늘린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의 영업현금흐름 대비 부채순상환액 추이는 2014년까지는 순차입(마이너스값) 추세를 보였으나 2015년부터 순상환(플러스값)으로 반전됐다. 불확실한 경제 상황이 지속되면서 기업들이 경영을 보수적으로 바꾼 결과로 해석된다.
이에 한경연은 문제는 현금보유 수준이 아니라 현금사용 성향에 있다고 분석했다. 즉, 현금을 부채상환 같은 소극적 활동보다 설비투자와 같은 적극적 활동에 쓰도록 독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송원근 한경연 부원장은 “올해 들어 설비투자가 늘어나고 있으나, 반도체 등 특정 산업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하며 “지금은 기업이 어렵게 찾은 투자기회를 법령에 가로막혀 놓치는 일이 없도록 각종 규제를 걷어내야 할 때”라고 설명했다.
유명환 기자 ymh7536@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