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16년 보이스피싱·대포통장은 전년 대비 보이스피싱은 22%, 대포통장은 19% 감소했다. 2015년 상반기 보이스피싱을 민생침해 5대 금융악으로 규정한 이후 사기범 목소리 공개 등에 힘입은 결과다.
작년 발생한 보이스피싱 피해규모는 총 4만5748건에 1919억원으로, 전년 대비 21.5% 줄었다.
이 중 대출빙자형이 전체 피해금액의 69.8%를 차지했으며, 전년 대비 27.1%포인트 증가했다. 이들은 검찰·경찰·금감원 등 정부기관을 사칭하는 수법에 대한 홍보 강화로 국민들의 대처능력이 강화되자, 금융회사의 대출 광고전화로 가장하는 교묘함을 보였다.
정부기관 사칭형의 경우 20·30대 여성이 전체 피해자의 38%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금감원 관계자는 “사회경험이 적고, 급박한 상황을 연출하는 고압적인 위협에 심리적으로 위축될 가능성이 높아 주요 표적이 되고 있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대출빙자형의 경우, 경기 위축에 따른 서민들의 대출 수요 증가와 지능화로 인해 실제 대출광고와 구별하기 어려워 피해가 늘고 있다. 대출 수요가 많은 40·50대가 피해자의 절반 이상(58.6%)을 차지했디.
지난해 대포통장(보이스피싱에 이용되어 지급정지된 계좌)은 4만6351개로, 전년 대비 19.1% 감소했다. 의심거래 모니터링 강화, 신규 계좌 개설시 심사 강화 등으로 은행 권역이 가장 많은 감소세를 보였다.
대포통장 중 신규 계좌의 비중은 4.2%로 전년 11.4% 대비 감소한 반면, 정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계좌는 68.3%를 차지했다.
신규 계좌 발급이 어려워지자 급전이 필요한 서민들이 기존 사용 계좌를 대포통장으로 매매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개인 대포통장 명의인 수는 감소한 반면 법인 명의인은 늘어났다.
금감원 불법금융단 김범수닫기

고영훈 기자 gy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