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 오후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된 GGGW 2016의 아시아 에너지 장관급 회의에서 ‘에너지 저장장치 기술 혁신’을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는 한화큐셀 CCO 김동관 전무. 한화큐셀 제공
한화큐셀 CCO(Chief Commercial Officer·영업실장)인 김동관닫기

김동관 전무는 약 10분간 진행된 기조연설을 통해 “향후 2040년에는 신재생에너지 점유율이 54%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그 중 태양광 에너지의 점유율은 26%에 이를 정도로 가장 빠르게 경쟁력을 갖추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현재 약 2% 수준인 태양광 에너지의 비중이 2040년에는 현재보다 13배 가까이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ESS 기능을 통해 보완된 태양광 에너지는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자리잡게 될 것이고, 기존 전력원과 달리 무한한 에너지인 태양광 에너지는 에너지 산업에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와, 우리 생활에 많은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동관 전무가 예상한 변화는 △한국에서 문제되고 있는 누진제인 피크타임의 프리미엄 요금 파괴 △전력회사에서 전기를 구매하는 것이 아닌 각 가정마다 전력의 자급자족 △아파트단지 및 빌딩 등의 태양광 발전설비를 통해 생산한 에너지를 자유롭게 사고 파는 ‘에너지 프로슈머’의 등장 △거리에 넘쳐나는 전기자동차 등이다.
김동관 전무는 이어“이러한 변화까지는 그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며 “18세기에 산업혁명이 있었다면, 현재의 우리는 이와 같은 에너지혁명을 경험하는 첫번째 세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GGGW2016’은 GGGS(Global Green Growth Summit·글로벌녹색성장서밋), GGGI(Global Green Growth Institute·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세계은행·경제협력개발기구(OECD)·유엔환경계획(UNEP) 등이 공동 주최하는 녹색성장 지식플랫폼 연례 컨퍼런스다. 지난 5일부터 9일까지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아시아 에너지 장관급 회의와 녹색성장기술 박람회 등으로 구성돼 있다.
한화큐셀은 ‘GGGW2016’ 중 녹색성장기술 박람회에 자체 기술인 ‘퀀텀(Q.ANTUM) 테크놀로지’를 적용한 단결정 및 다결정 모듈을 전시하며 참가하고 있다. 다결정 모듈인 ‘큐 플러스(Q.PLUS)’ 시리즈의 경우 최근 19.5%의 효율을 달성하여 다결정 태양광 모듈 효율분야에서 세계 신기록을 수립하며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인정받은 바 있다.
김은지 기자 rdwrwd@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