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랜드그룹이 2일 티니위니 매각 관련 기자간담회를 연 가운데 신동기 CFO가 질문에 답하고 있다.
매각 구조는 중국 현지에 설립한 티니위니 신설법인의 지분 100%를 패션업체 브이그라스에 넘기는 방식이다. 신설법인에는 중국 티니위니 디자인 및 영업 인력을 포함, 중국 사업권과 글로벌 상표권 등이 속해있다.
티니위니는 중국 내 주요 백화점과 쇼핑몰 등 1300개의 직영 매장을 통해 지난해 매출 4218억, 영업이익 1120억 원을 올리는 등 초우랑 수익구조와 확고한 브랜드 경쟁력을 갖췄다. 이에 이랜드는 애초 티니위니 희망 매각가를 1조 3000억~1조 5000억 수준으로 기대했었다.
이랜드그룹 M&A총괄담당 임원 이규진 상무는 “시장과의 약속을 지키면서도 향후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선에서 최종 협상을 타결하게 됐다”고 말하고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거래를 이어갔다면 가치를 더욱 크게 인정받을 수 있었을 거란 아쉬움은 있으나, 현재의 재무구조 개선 작업의 속도를 위해 최종 결정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랜드가 지난해 연말부터 선제적으로 진행해 온 재무구조 개선 작업도 티니위니 매각이 완료되면서 탄력을 받게 됐다. 티니위니 매각을 통해 조 단위의 금액을 한 번에 가져왔기 때문인데, 이랜드는 이번 매각을 통해 그룹 부채비율이 200% 초반까지 낮춰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지난해 6월말 연결기준, 이랜드그룹의 지주사 격인 이랜드월드의 부채비율은 295%에 육박한 상황이다. 금번 티니위니가 1조 원 이상에 매각에 따라, 이랜드그룹의 부채비율은 200% 초 까지 떨어지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랜드는 기업의 차입금 1조 5000억을 축소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티니위니 매각 금액 1조원과 더불어, 부동산 매각까지 더하면 총 1조 5000억의 부채를 줄이는 데 근접 한다는 설명이다. 나머지 부채는 영업과 내실경영을 통해 줄여 나갈 예정이다.
이랜드는 이달 초 재무구조개선을 위한 부동산 매각에 나섰다. 10일 이랜드는 합정역과 홍대입구역 인근, 강남역 일대 부지에 대한 부동산 입찰 공고를 냈다고 밝혔으며 부지 3곳의 매각금액은 최소 3000억 원 이상이 될 것으로 파악된다.
한편 KKR을 상대로 한 킴스클럽 매각 건은 무산됐다. 이랜드는 앞서 6월 미국계 사모투자펀드인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와 킴스클럽 매각에 대한 바인딩 MOU을 체결했다. KKR과의 킴스클럽 매각건은 양사간의 니즈 차이로 인해 불발 됐다는 설명이다.
김은지 기자 rdwrwd@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