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이 1일 발표한 '2016년 6월 국제수지(잠정)'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경상수지 흑자는 121억7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이로써 경상수지는 2013년 3월 이후 52개월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6월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월간 흑자규모로도 사상 최대치로 지난해 6월보다 3억 달러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최근 경상수지 흑자는 상품교역에서 수출과 수입이 함께 감소하면서 수입이 수출보다 더 많이 줄어드는 '불황형 흑자'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구체적으로 6월 상품수지 흑자는 128억2000만 달러로 전월비 20억8000만 달러 늘었다. 상품수지 흑자는 지난해 6월(128억 달러)을 뛰어넘어 사상 최대 규모 수준이다.
수출은 452억5000만 달러로 작년 동기보다 7.4% 줄었고, 수입은 324억3000만 달러로 10.1% 감소했다.
올해 상반기 상품수지 흑자는 610억 달러로 작년 상반기 대비 31억 달러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수출이 2459억9000만 달러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11.1% 감소했고, 수입은 1849억9000만 달러로 같은기간 대비 15.5% 줄었다.
서비스수지는 적자는 13억8000만달러로 5월(11억4000만 달러)에서 확대됐다. 한국은행은 "여행수지 적자가 7억4000만 달러로 전월보다 2억5000만 달러 늘어난 악화된 영향"을 원인으로 분석했다.
임금, 배당, 이자소득 등을 포함한 본원소득수지 흑자는 12억6000만 달러로 5월(9억1000만 달러)보다 3억5000만 달러 늘었다. 한국은행은 "배당 수입 증가 등으로 본원소득 수지 흑자가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자본수지에서 자본유출입을 나타내는 금융계정의 순자산은 96억 달러 늘었다. 직접투자 중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28억2000만 달러 증가했고, 외국인의 국내투자는 13억5000만 달러 증가했다.
주식, 채권 등 증권투자의 순자산은 62억 달러 늘었다. 내국인의 해외투자는 39억8000만 달러 증가했지만, 외국인의 국내투자는 22억2000만 달러 줄었다.
6월 파생금융상품은 3억7000만 달러 증가했다.
외환보유액에서 환율 등 비거래 요인을 제거한 준비자산은 7억7000만 달러 감소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