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는 은행보다는 낮지만 기타 보험, 상호 저축 종사자보다는 높은 수치다. 연봉별 비율을 보면 5000만원 이상 7500만원 이하 비율이 21.8%로 가장 높고 7500만원 이상 1억 미만은 21.8%로 다음을 차지했다.
또 2500만원 이상 5000만원 미만은 27.6%의 비율을 차지했으며 2500만원 미만은 4%에 불과했다. 성별로는 억대 연봉자 비율은 남성(78.6%)이 여성(40.2%)의 두배 가까이 됐다.
증권·선물업 종사자의 82.2%는 정규직으로 나타났다. 비정규직은 17.8%에 불과했다. 이는 증권·선물업 직종이 타 업종보다 고용이 상당히 안정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금융업종과 달리 농어업이나 건설업, 도소매 음식업 등은 정규직인 60%에 불과했다.
이중 여성 고용비율은 증권·선물업의 경우 36.7%에 불과했다. 10명중 4명 미만이라는 결과다. 특히 자산운용 신탁업의 경우 여성 고용비율이 27%에 불과했다.
또 증권·선물업 종사자중 45.27%가 영업 마케팅에 종사하고 있었다. 그 다음으로 19.06%가 경영관리 업종에 종사하고 있었으며 15.90%는 자산관리 업종에 종사하고 있었다. 이중 여성은 52.7%가 영업 마케팅에 종사하하고 있었으며 14.8%가 경영관리, 13.5%가 자산관리로 나타나 남녀 통틀어 종사하는 비중은 비슷했다. 업권별 연령 비중을 보면 30대가 43.6%로 가장 높았고 40대 이상이 34%로 그 다음을 차지했다. 20대는 12.5%에 불과했으며 20대 미만도 0.3%를 차지했다. 50대 이상은 7%였다.
증권·선물업 인력은 대체로 가운데가 두터운 항아리 형을 띄고 있었다. 연령별로 보면 증권·선물업의 경우 10년 이상 종사자가 34.4%로 가장 높았으며 5~10년 미만은 31.8%, 5년 미만은 33.9%를 차지했다.
10년에서 15년 미만은 9.9%에 불과했으며 15년에서 20년 미만은 14.4%였다. 이는 최근 증권·선물업 구조조정으의 결과로 표주박 형을 띄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학력별로 보면 증권 선물 회사 인력의 81.6%가 대졸 이상의 학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0명중 8명은 대졸자인 셈이다.
전문대졸업 학력자는 10.3%에 불과했으며 고졸의 비율도 8.2%에 불과했다. 대학원졸업 이상의 학력자는 6.4%였다. 전공별로 보면 56.4%가 경영, 경제를 전공했으며, 인문 사회 전공자가 16.7%를 차지했다. 이밖에 컴퓨터 통신 전공자는 6.3%에 불과햇으며 공학 계열과 자연계열은 각각 5.7%, 4.2%였다. 시간제 일자리 현황을 보면 증권·선물업의 경우 368명의 일자리가 있었으며 비중은 16.6%였다.
특히 이중 89%가 여성인 것으로 조사됐다. 일자리 10명중 9명은 여성일자리인 셈이다. 급여수준을 보면 1000만원에서 2500만원 미만이 89.2%로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2500만원에서 5000만원 미만은 10.1%에 불과했다. 1000만원 미만은 9.1%였다. 연령별로 보면 40대와 30대가 각각 41%, 35.9%로 높았으며, 20대 14.4%, 50대 이상 7.7%로 그 다음을 이었다.
신규채용의 경우 증권·선물업은 경력자를 2375명 채용했고 신규 채용자는 1285명이었다. 10명중 6명은 경력, 3명은 신입인 셈이다. 이직자 퇴직자 규모를 보면 증권·선물업의 경우 2647명이 자발적 이직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자발적 이직은 942명이엇다. 이중 정년 퇴직자는 53명에 불과했다.
증권·선물업의 경우 강력한 구조조정으로 인해 정년 퇴직자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자발적 이직자의 70%인 1755명이 남성이었다. 여성은 893명에 불과했다. 증권·선물업의 추가 채용 예상규모는 20.6%인 876명으로 조사됐다.
지난해에는 계획했던 채용인원보다 실제 채용인원이 853명 더 많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증가율로는 23.1%였다. 업권별로는 자산운용 신탁에서 채용 계획대비 가장 많은 증가율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증권 선물 업권이었다. 직무별로는 자산관리(81.4%), 영업지원 57.3% 직무에서 계획보다 훨씬 많은 인원을 채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2014년과 비교했을 때 금융회사는 1365개에서 1339개로 줄었다. 업권별로 보면 보험, 자산운용. 신탁을 제외한 모든 업권에서 줄어들엇다. 취업자수도 자산운용 신탁을 제외한 모든 업권에서 줄어든 반면, 은행, 보험 증권 선물, 신협에서 감소했다. 증권·선물업의 업종별 채용현황을 보면 신규는 35.1%고 경력직은 64.9%였다. 상대적으로 경력자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급여수준별 채용현황을 보면 신규 채용의 경우 연봉 2500만원에서 5000만원 미만이 46.9%로 가장 많았고 2500만원 미만도 43.7%로 비교적 많았다. 연봉 5000만원에서 7500만원 미만의 경우 7.4%에 불과했으며 7500만원 1억원 미만도 1.2%를 차지했다.
경력의 경우 연봉 5000만원에서 7500미만이 28.3%로 가장 많았으며 연봉 2500만원에서 5000만원 미만의 경우도 29.2%를 차지했다. 2500만원 미만도 21.8%로 비교적 비율이 높았다. 연령별로 보면 신입의 경우 20대가 60%로 가장 많앗으며 30대도 20.1%를 차지했다. 40대는 10.2%, 50대 이상과 20대 미만은 각각 2.7%, 7%를 차지했다.
경력의 경우 30대가 47.5%로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40대도 23.5%를 차지해 비교적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50대 이상, 20대 미만은 각각 10.6%, 0.6%를 차지했다. 근무기간별 채용현황은 신규, 경력 공통적으로 5년 미만의 경력자가 각각 99.9%, 98.2%로 높았다. 학력별로는 신규 채용의 경우 대졸자자가 49.2%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대졸 16.8%, 고졸은 31.7%를 차지했다. 경력자의 경우 60.9%가 대졸자였으며 고졸이 16.1% 전문대졸자가 9.5%를 차지했다.
금융보안 인력 현환을 보면 증권·선물업의 경우 전체의 274명인 92.2%가 정규직이었다. 비정규직은 7.8%에 불과했다. 성별로는 남성의 경우 91.4%가 정규직이었으며 여성 인력의 90.1%가 정규직이었다. 비율로만 따지면 전체 피고용인 중 남성이 85.4%를 차지해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여성인력은 14.6%에 불과했다. 급여수준은 5000만원에서 7500만원 미만의 종사자가 40%로 가장 많았으며 7500만원에서 1억 미만도 29.7%를 차지했다. 상대적으로 고액 연봉을 받고 있음이 확인됐다.
이밖에 1억에서 1억5000만원 미만도 11.6%를 차지했으며 2500만원에서 5000만원 미만이 16.8%, 2500만원 미만은 0.6%를 차지했다. 성별로 보면 남성의 경우 5000만원에서 7500만원 미만의 종사자가 34.3%로 가장 많았으나 여성의 2500만원 이상 5000만원 미만의 종사자가 41.3%로 가장 많았다.
금융보안 인력의 경우 상대적으로 고액연봉자들이었으나 여성보다는 남성의 고액 연봉 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연령대를 살펴보면 40대가 45.3%로 가장 많았으며 30대도 44.3%를 차지해 30대 40대가 대부분 연령대가 몰려 있었다. 총 근무기간 비중을 보면 10년 이상 종사자가 36.3%로 가장 많았으며 5년 미만 종사자도 32.4%를 차지해 다음으로 높았다.
그러나 5~10년 미만 종사자도 32.4%를 차지해 비교적 다양한 경력을 가진 종사자들이 일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학력별로는 대졸이상이 82.2%로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대학원졸업자도 10.9%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밖에 전문대졸과 고졸은 각각 15.3%, 2.5%를 차지했다. 전공별로는 컴퓨터 통신 전공자가 56.3%로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공학 계열이 19.4%로 다음을 차지했다.
KIF는 “금융권 일자리가 전반적인 일자리에 비해 양질의 일자리인 점을 감안할 때 금융권 일자리 부진은 개선되어야할 과제”라고 분석했다. 금융권 일자리는 정규직 비중이 타 업종에 비해 높아서 직업의 안정성 측면에서 양질의 일자리랄고 평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금융권 일자리 창출은 청년 취업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청년들은 초기 일자리 질이 전 생에 일자리 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열악한 일자리에 취업하기 보다는 필사적으로 괜찮은 일자리에 진입하기 위해 노력하거나 유휴으로 남아 있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 업권별 급여 수준 비중 〉
(단위 : %)
(자료 : 금융위원회)
장원석 기자 one218@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