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일 보험개발원은 2014∼2015년 은퇴 준비자 1266명의 은퇴준비실태를 경제측면(은퇴 후 생활비)과 건강측면(은퇴 후 의료비)으로 조사한 결과 준비는 전반적으로 미흡한 상태라고 밝혔다.
설문 대상자의 93.4%가 은퇴 준비가 필요하다고 답했지만 부부의 준비상태를 기준으로 적정 생활비(월 269만원)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는 사람은 7.9%(100명)에 그쳤다. 적정생활비에 미치지 못하는 최소생활비(월 196만원)를 마련할 것으로 답한 응답자는 8.1%(102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나머지 84%(1064명)는 준비 금액으로 최소 생활비를 마련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정 생활비와 최소 생활비는 조사 대상자들의 응답 결과를 평균치로 산출됐다.
응답자들의 은퇴예상 연령은 평균 64세였지만, 연금계약의 납입 종료 시기는 평균 53세로 약 10년의 은퇴준비 공백기간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료비 준비가 적정할 것으로 기대되는 인원은 56.8%(719명)에 불과했다.
은퇴 준비 수준은 성별, 연령, 직업, 은퇴예상 연령 등에 따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집안의 가장이 남성일 경우, 직업이 안정적일수록 은퇴예상 연령이 늦을수록, 준비하는 연금층이 두터울수록 경제측면(생활비) 준비수준이 양호했다.
개발원 관계자는 “의료비 준비 수준이 미흡할 경우 예금?저축 등 자가보험보다는 민영의료보험을 활용해 준비 수준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며 “금융감독원의 통합연금포털(https://100lifeplan.fss.or.kr) 및 각종 은퇴관련정보를 적극 활용한 노후계획 재정비를 통해 안정적인 노후생활의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박경린 기자 puddi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