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는 지난 22일 신한·국민은행 등 유암코 주주은행 8곳과 협의를 거쳐 이같은 내용을 담은 기업구조조정 전문회사를 설립·운영하는 방안을 최종 확정했다.
금융위는 최근 기업구조조정 전문회사 신설 계획을 백지화하고 시중은행의 부실채권 관리회사인 유암코에 전담조직을 신설하는 방향으로 계획을 수정했다.
우선 지난 2009년 설립한 부실채권 관리회사인 유암코(연합자산관리)가 확대 개편돼 기업 구조 조정 전문회사로 나서게 된다. 시중은행과 산업·수출입·기업은행 등 8개 은행의 출자 및 대출 약정, 유암코의 회사채 발행 등을 합쳐 4조2500억원 정도의 자금력을 갖게 된다. 운영 방식은, 유암코와 채권은행, 민간 자본 등이 참여하는 '기업재무안정사모펀드(PEF)'를 만들어 부실기업의 주식·채권 등을 사들여 기업 개선 작업을 하는 것이다. 유암코 단독이 아니라 사모 펀드를 조성하고, 은행들로부터 부실채권 등을 액면가의 50~70%에 사들이게 돼 유암코가 처리할 수 있는 부실기업 규모는 최대 28조원 정도로 확대된다.
금융위 관계자는 “채권은행 주도에서 민간 주도로 구조조정의 틀을 전환했 시장 중심의 상시적 기업구조조정 시스템을 구축·활성화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의석 기자 esk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