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B(유럽중앙은행)의 추가양적완화방식이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현재 ECB 납입자본금 비율에 따라 각국 국채를 매입하는 방식이 시행가능성이 높다. ECB의 납입 자본금 비율에 따른 국채매입이 실시될 경우 ECB가 매입할 독일 및 프랑스 국채 비중은 각각 18%(비유로국가제외시 25.6%)와 14.2%(20.1%)로 추정된다. 반면 비중이 가장 낮은 그리스의 경우 국채 매입비율은 2%(3.5%) 수준이다. 또한 △AAA 등급의 우량국채만을 매입하는 방식 △ECB가 아니라 각 회원국 중앙은행이 국채를 매입하는 방법도 거론되고 있다.
이 가운데 국가별 납입자본금비율에 따른 국채매입방식이 유력하다. 재정취약국 국채매입에 따른 위험을 최대한 분산할 수 있으며, ECB납입자본금비율이라는 객관적 기준에 따라 국채매입규모가 결정됨에 따라 최대매입국인 독일, 프랑스 등 일부 국가의 반발을 무마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시장에서는 추가양적완화단행을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ECB 집행이사는 오는 22일 ECB 통화정책회의에서 국채매입 프로그램이 발표될 수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단 추가양적완화를 단행하더라도 시장이 환호할지 불투명하다. 추가양적완화규모에 따라 시장의 희비가 엇갈릴 것으로 보고 있다. ECB의 양적완화 규모는 미국 연준의 2차 양적완화 규모와 비슷한 수준인 5000억 유로 수준으로 점치고 있다. 하지만 증시를 움직이는 모멘템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이보다 그 규모가 커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미 연준의 양적완화규모를 보면 1차 1.76조 달러, 2차 6,000억달러에 달한다. 1, 2차 양적완화에도 불구하고 경기회복 속도가 미약하자 3차 양적완화에서는 사실상 무제한 양적완화 정책을 채택한 바 있다. 특히 3차 양적완화기간동안 약 1.7조달러 규모의 자산매입이 이뤄지며 경기회복의 효과가 나타났다. 이를 근거로 5000억 유로수준의 양적완화로 최근 침체된 유로존 경기에 개선시키기에는 역부족이라는 분석이다.
아울러 더욱이 납입 자본금 비율에 따라 국채매입이 이루어질 경우 상대적으로 독일, 프랑스 등 납입 자본금 비율이 높은 국가는 상대적으로 큰 수혜를 얻을 수 있는 반면에 그리스 등 재정 취약국의 경우 상대적으로 혜택이 미약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하이투자증권 박상현 연구원은 “정책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금융시장 기대치를 상회하는 ECB 결정이 필요하다”라며 “즉 양적완화 규모를 확대하거나 국채 매입뿐만 아니라 일부 회사채 매입과 같은 정책서프라이즈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최성해 기자 haeshe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