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생명보험사와 손해보험사들은 내년부터 양 협회에 사회공헌 활동 비교 내용을 공시토록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상은 생보사 24곳과 손보사 31곳 등 총 55개사다.
이를 위해 양 협회는 홈페이지 공시실에 사회공헌 활동 메뉴를 신설키로 하는 등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문제는 공시 기준인데, ‘금액’과 ‘(임직원)봉사시간’이라는 단순한 기준으로 줄을 세울 경우 대형사에만 유리할 것이라는 불만의 목소리가 중소형사를 중심으로 터져 나오고 있다.
중소형 보험사 한 관계자는 “각 사마다 M/S(마켓쉐어)와 규모에 따른 임직원 수가 다른데 이러한 고려 없이 단순히 금액과 시간으로만 공시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며 “보험사들의 사회공헌에 대한 압박키워드라지만 별다른 효과를 보지는 못할 것”이라며 꼬집었다.
이에 따라 보험사별 자산 규모 등을 감안한 사회공헌지수를 별도로 개발하는 등의 방안도 논의되고 있지만 이도 역시 쉽지 않을 전망이다. 각 사마다 사회공헌의 취지나 방향이 달라 일괄적인 기준으로 평가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
업계 한 관계자는 “재단을 가진 대형사와 그렇지 못한 곳은 당연히 업무상 질적인 차이를 보일 뿐 아니라 어떤 곳은 기부금 출연을 중점적으로 하는 곳이 있고 또 어떤 곳은 재난 구호나 경제교육, 어떤 곳은 기부금 보다 봉사활동을 통해 고객들과 직접적으로 만나는 자리를 중시하는 등 회사마다 바라보는 방향이 달라 일관된 기준으로 평가하는 것은 쉽지 않다”며 “이를 소비자들에게 합리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워 분명 공시 기준을 두고 논란이나 문제의 소지가 일 수 있을 것”으로 지적했다.
또 양적지표만을 가지고 평가하는 것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에 따르면 실제 봉사활동을 나가는 곳은 시간적인 이유로 수도권 등으로 한정되는 경우가 많고, 미래효과나 대외적인 이미지 등을 이유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사회공헌 활동이 많아 봉사 장소가 겹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는 것. 때문에 사회공헌 활동이 양적지표를 통해 외부적인 기업평가 요인으로 작용할 경우 오히려 이러한 폐해가 더욱 늘어날 수도 있을 것으로 우려된다.
그러나 양적지표인 출연금이나 봉사시간을 제외하고 평가하는 것도 객관적이지 않아 평가 기준을 놓고 업계간 진통이 예상된다.
업계 관계자는 “회사별 비교 공시를 통해 사회공헌을 자연스레 유도하겠다는 취지지만, 사회공헌은 회사의 자발적인 의사를 통해 이루어져야 하는 부분인데 이를 강제하는 것도 문제가 있으며, 대선을 앞둔 금융당국의 액션이라는 인식을 지우기도 어렵다”고 말했다.
김미리내 기자 pannil@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