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유럽정상회담에서 합의안을 내놓으며 글로벌공조가 본격화되고 있다. 이번 합의의 핵심은 재정 건전화 규정의 강제. EU회원국들이 GDP대비 재정적자를 3.0% 이하로, GDP대비 순부채비율을 60% 이하로 안정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나아가 이를 위반할 경우 제재를 받는다.
이 방안이 시행되면 GDP대비 재정적자는 2013년부터 2.7%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또한 구제금융기금확대에도 구제금융 기구인 유로안정화기구 (ESM)의 출범을 내년 7월로 1년 앞당기고, 2013년 중반까지는 유럽재정안정기금(EFSF)과 병행 운용키로 했다. 이밖에도 IMF에 2,000억 유로의 지원기금을 마련하는 방안에도 합의했는데, 이 가운데 1500억 유로는 유로존 국가들이, 나머지 500억 유로는 비(非)유로존 국가들이 분담한다.
세계경제의 양대산맥인 미국과 중국도 시장안정을 꾀하는 정책을 준비중이다. 미국은 최근 FOMC에서 추가양적완화는 단행하지않았으나 미경제회복에 대한 메시지를 밝혀 시장불확실성은 일단락됐다.
중국은 더 적극적이다. 지난 30일 지준율인하를 단행한 중국은 내년 거시정책의 방향을 가늠할중앙경제공작회의가 오늘까지 진행중이다. 유럽의 경기부진을 만회할 수 있는 신흥시장 대표격인 중국이 긴축에서 완화정책으로 돌아설 지가 관심사다. 11월 소비자물가가 4.2% 오르는 등 2010년 10월 이후 최저를 기록한 점을 감안하면 통화완화 쪽에 힘이 실릴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이처럼 글로벌공조가 본격화될 경우 추가유동성공급의 영향으로 증시에도 긍정적이다.
KB투자증권 김성노 투자전략팀장은 “각국들이 금리인하, 지급준비율 인하 등을 통해 경기부양적인 정책을 펴고 있다”며 “미국 경제지표가 예상치를 크게 상회하고 있어 경기둔화에도 불구하고 주식시장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을 유지한다”고 말했다.
삼성증권 박종민 연구원은 “ECB의 시장개입은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시간이 필요한 상황”이며 “장기전으로 들어간 유럽보다 중국이 내년 거시경제정책 기조를 결정하는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완화적 스탠스를 보여주는 것만으로도 시장의 기대를 일정부분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성해 기자 haeshe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