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투자증권은 2011년 개방이 예상되는 국내 헤지펀드 시장을 겨냥해 대표적인 운용방법인 롱숏전략(매수를 뜻하는 롱전략과 매도를 뜻하는 숏전략을 구사해, 시장의 흐름과 관계없이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전략)을 원하는 투자자문사나 향후 헤지펀드 시장에 참여할 의사가 있는 거액 자산 개인 투자자, 외국의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장외 대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플랫폼을 구축, 서비스를 시작한 셈. 현재 장내 주식대차를 이용할 경우 주식 차입 시 담보로 맡길 수 있는 종목이 KOSPI 200에 국한된다. KB투자증권은 KOSPI 200종목을 포함, 기타 KOSPI 종목 및 일부 코스닥 종목까지 담보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어 더욱 유연한 롱숏전략을 구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현재 국내 대차 시장 규모는 2010년 3분기말 기준 약 22조 원으로 집계되고 있으며 약 90%의 시장을 외국인들이 차지하고 있고 시장 참가자 대부분이 장내 주식대차를 이용하고 있다. 장외대차는 극소수의 국내 증권사만이 유일하게 운영하고 있을 정도로 아직은 규모가 미미한 수준이나 헤지펀드 시장 개방에 맞춰 자문사 및 부티크의 헤지펀드식 롱숏 운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KB투자증권 Prime Brokerage service팀 김재형 팀장은 “향후 국내에 헤지펀드 시장이 열리면 헤지펀드와 불가분의 관계인 프라임 브로커의 역할이 중요해질 것”이라며 “이번 장외 주식대차 서비스 업무 개발을 통해 시장에 KB투자증권 프라임 브로커의 우수성을 알리고 헤지펀드식 운용 또는 헤지펀드 설립에 관심 있는 개인이나 기관들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초기 프라임 브로커리지 시장을 선점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관리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