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이사철 한나라당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자료에 따르면 기프트카드를 판매하는 19개사의 올 상반기 낙전수입은 24억5400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카드사들의 지난해 전체 낙전수입(14억2100만원)보다 무려 72.7%나 늘어난 것으로 연말이 되면 2배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카드사들의 기프트카드 낙전수입은 지난 2007년만해도 5억8600만원에 불과했지만 최근 몇 년 새 5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기프트카드 낙전은 소비자가 미처 사용하지 못한 채 시간이 흘러 소멸된 돈으로 고스란히 카드사의 주머니로 들어간다. 잔액별로 보면 1만원 이상 고액이 80.6%(19억7700만원)나 됐고 1000~1만원 17.2%(4억2,200만원), 1000원 미만 2.2%(5,500만원) 순이었다. 기프트카드 낙전이 급증하는 것은 환급절차가 까다롭기 때문이라는 게 이 의원의 분석이다. 2007년부터 올 상반기까지 판매된 기프트카드(5조3739억원) 중 카드사 수입으로 처리된 금액은 총 66억원에 달한다. 발행금액의 0.1% 수준이다. 발행금액 대비 낙전수입 비중이 가장 큰 카드사는 씨티은행(1.6%)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은 현대카드(0.4%), 외환은행·농협(0.3%) 순이었다. 기프트카드는 발행금액의 80% 이상을 사용하면 환불받을 수 있다. 하지만 고객들이 이를 잘 모르거나, 아니면 환불절차가 복잡해 제대로 챙기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전체 19개 카드사와 은행 중 14곳은 고객이 영업점을 직접 방문해야만 환불해 주고 있다. 영업점 외에 홈페이지나 자동응답전화 등 다른 환불창구를 둔 카드사는 5개사(신한·삼성·현대·롯데카드·전북은행)뿐이다.
이사철 의원은 “카드사들이 환불창구를 다양화하지 않는 것은 결국 고객의 환불을 어렵게 해서 낙전수입을 챙기겠다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낙전액은 고객의 돈인 만큼 카드사가 챙기는 것보다는 휴면예금과 같이 서민금융 활성화 재원으로 출연하는 편이 옳다”고 말했다.
관리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