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열린 녹색성장 컨퍼런스에 참석 축사에 나선 진 위원장은 “지난해 8월 이후 정부의 녹색성장 비전이 선포되고, 녹색산업과 녹색기술에 대한 자금지원이 시작됐지만 우리 금융의 여건과 역략이 충분치 못하고, 제도적 인프라도 미비했다”고 말했다.
진 위원장은 “이에 따라 앞으로 제도적 인프라의 미비점을 보완하고, 녹색산업을 지원·육성하기 위한 후원자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이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지난 7월 녹색금융 부문의 활성화를 위해 ‘녹색투자 촉진을 위한 자금유입 활성화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정부 관련 부처는 현재 이 방안을 바탕으로 각각 부문별 액션플랜을 만들어 추진중이다.
진 위원장은 이어 “정부는 투자기반 조성을 위해 특정 기술 또는 프로젝트가 녹색분야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녹색인증제도’를 도입키로 하고 지난달 도입 방안을 발표했다”며 “녹색산업의 발전단계별 맞춤 지원이 가능하도록 정부와 시장이 적절한 역할 분담 체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또 “정부의 역할 뿐만 아니라 금융산업 스스로도 녹색금융이 기회를 깨닫고,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모습을 보여달라”고 당부했다.
전세계적으로 녹색성장과 녹색금융 시장의 선점을 위한 치열한 경쟁이 펼쳐지고 있고, 선도자가 이익을 취하고, 미래시장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는 설명이다.
세계적으로 녹색금융의 개념이 초기인 점을 감안해 선진금융시장과의 발전 격차가 여타의 부문보다 크지 않다는 점을 활용해야 한다는 전략이다.
진 위원장은 “친환경적인 금융 중개를 통해 사회 전반에 녹색문화가 활성화되도록 유도하는 촉진자 역할을 수행하는 것도 금융의 몫”이라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고 신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일자리 창출, 핵심 주력산업 녹색화 등 녹색선진국 건설이 국가 발전 패러다임이라 할 수 있다”고 역설했다.
배동호 기자 dhb@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