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주채권은행들이 2008회계연도 재무제표를 기준으로 45개 주채무계열에 대한 재무구조를 평가한 결과, 7개 그룹이 기준점에 미달하고 2~3개 그룹은 불합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주채무계열은 금융기관의 빚이 많아 주거래은행의 관리를 받는 대기업 집단으로 금융감독원이 매년 금융권 총 신용공여액의 0.1% 이상 차지하는 그룹을 주채무계열로 선정한다.
이번 평가에서 불합격 판정을 받은 그룹에 대해서는 재주구조 개선 약정을 맺고 자산매각, 계열사 정리 등의 구조조정을 추진한다.
삼성, LG, 두산, 한화 등 가장 많은 17개 대기업그룹을 평가하고 있는 우리은행은 1~2개 정도 그룹을 불합격 시킬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1곳과 재무약정을 맺었고 올해 새로 편입된 2개 그룹이 부채 비율이 높은 조선업 계열이어재무약정을 맺을 가능성도 있다.
채권은행 관계자는 “평가작업은 사실상 모두 끝난 상태”며 “막바지 조율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우리은행 다음으로 많은 12개 기업을 평가하고 있는 산업은행은 4~5개 그룹을 불합격 시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롯데, S-Oil, OCI(옛 동양제철화학), 웅진 등 4개 기업을 평가하는 신한은행도 1곳 정도가 재무약정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고 대한전선, 세아. SK, GS 등 4곳을 맡은 하나은행도 1곳 정도가 불합격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채권은행들은 부채비율과 이자보상배율, 총자산회전율, 매출액영업이익률 등 4가지 기준을 토대로 평가를 진행한다.
주채무계열에 대한 재무평가에 이어 38개 중대형 해운업체의 평가도 이달 안에 완료된다.
이 가운데 10∼20%가 구조조정 대상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채권단은 용대선(선박을 빌리거나 빌려주는 것) 비율과 자기 선박의 매출 비율을 중시하고 있으며 채무상환 능력과 수익성, 영업 전망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평가하고 있다.
채권단은 5∼7개 해운사가 구조조정 명단에 오르고 있으며 이 가운데 1∼2곳은 퇴출당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해운사는 일시적 자금난을 겪고 있는 B등급과 C등급의 경계선에 있어 구조조정 대상이 줄어들 수도 있다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채권단은 중대형 해운업체 구조조정을 끝내고 난 뒤 다음 달에는 나머지 140여개 중소형 해운사를 대상으로 2차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할 예정이다.
김성희 기자 bob282@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