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령직원에 대한 명퇴작업이 시작된다’, ‘인력의 10~20%정도 감축될 것이다’ 등의 소문이 나돌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농림수산식품부 등 정부부처에서는 농협중앙회의 개혁방안을 검토하고 있고, 최원병 회장도 취임 공약으로 농협중앙회의 개혁을 내세운 바 있다.
이와 관련해 농협은 지난 3월 ‘농협개혁위원회’를 출범시키고, 자체적으로 개혁 추진 방안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이 내부적으로 대규모 구조조정 실시 여부로 어수선한 가운데, 외부적으로 정부의 ‘농기계임대사업 추진’압박도 부담거리다. 지난 3월 이명박 대통령은 농림부 업무보고 자리에서 “농협을 통한 농가 농기계매입후 재임대”형식의 농기계임대사업과 농가 농기계부채 탕감 방안을 제시했다.
이에 농림부와 농협은 그간 의견조율을 했고, 지난 10일 농림부측에서 “농협이 농업인들의 농기계 부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농기계 임대사업에 1조원을 투입할 것”이란 얘기가 나왔다. 이에 농협이 발끈했다.
농협측은 “아직 결정도 되지 않은 상황을 농림부가 압박하기 위해 일부러 언론에 흘린 것이 아니냐”며 농림부에 의혹을 눈초리를 보내기도 했다.
농협측이 이처럼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농기계임대사업’의 실효성이 낮고, 경영적 측면에서도 부작용이 크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농협 관계자는 “농기계임대사업을 통해 농가의 부채를 탕감할 수 있는 규모는 전체 농가부채중 6%에 불과한 것으로 안다”며 “농협 노조에서도 효과는 크지 않고 부작용만 예상되는 사업이라며 반발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현재 사업추진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특히 ‘농기계임대사업’이 농협의 최대 현안인 ‘신경분리’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향후 신경분리 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2017년까지 자본금을 최소한 7조원이상 늘려야하는 상황인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1조원대의 농기계임대사업을 추진할 경우, ‘신경분리’가 당초 예상보다 늦어지나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 지난 3월에 있었던 농협개혁위원회 현판식 장면.
정하성 기자 haha70@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