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대구, 광주, 대전 등 광역시를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보험사의 콜센터는 지역민, 지자체, 보험사가 모두 윈-윈 할 수 있어, 향후에도 지방이전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5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동양생명을 시작으로 현대해상, 흥국쌍용화재, 흥국생명이 이달 중 대전광역시에 콜센터 개소를 앞두고 있으며, 다음달 그린화재가 원주에 3호 콜센터를 개소할 예정이다.
이밖에 현재 대한생명, 미래에셋생명, 동부화재, 등 대형사와 중소사를 막론하고 지방콜센터를 보유, 계획중에 있다.
이처럼 지방콜센터를 선호하는 이유는 지역경제를 부양하기 위한 지자체의 노력과 콜센터의서울 및 수도권 영업력 한계에 있다.
한 지자체의 지역경제부 팀장은 “보험업계를 방문해서 유치홍보를 하는 일은 물론 교육훈련 비용부담과 고용보조금을 따로 편성해서 콜센터유치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며 “타 지자체들도 임대보증금의 50%(3억원이내)를 지원하기도 하고, 집기설치비용(2억원이내)도 부담한다”고 밝혔다.
또한 예산확보를 하지못한 지자체들도 콜센터 유치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어 이들까지 유치경쟁에 나선다면 더욱더 경쟁이 심화될 것 이라고 설명했다.
대전과 대구는 ‘투자유치전담팀’을 만들어 직원을 서울에 상주시켜 홍보를 하고 있으며 이들을 위한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관련 각 지자체는 콜센터 유치가 실업난해소, 지역경제 활성화, 연관산업의 시너지효과 등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더불어 지방이전을 촉진시키는 또다른 주된 원인은 콜센터의 영업력 한계에 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서울과 수도권에서 콜센터 인력의 유동이 너무 심해 일관성을 가지고 사업을 하기에 무리가 있다”며 “사업비까지 지원되는 지방 콜센터는 매력만점”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서울과 수도권에서 어느정도의 경력이있는 콜센터 직원들은 보다 더 좋은 조건에 스카우팅 되는 사례가 빈번해 보험사들이 인력부족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실정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보험 콜센타 업무를 능숙하게 처리하려면 1년 이상이 걸리고, 이처럼 어렵게 육성한 직원들을 타사에 빼앗기에 될까봐 전전긍긍 하고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지방의 경우, 경쟁사의 콜센터가 없거나 적어 이직률을 낮출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대전과 같은 경우 직원들이 사투리를 거의 쓰지 않아 콜센터 이용 고객에게 거부감을 주지 않아 호평을 받고 있다.
한편, 각 지자체들은 지역 대학과 연계해 콜센터 직원 및 중간관리자(슈퍼바이저)를 양성하는 학과를 개설해 콜센터를 운영하는 보험사들을 유혹하고 있다.
김순식 기자 ssk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