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은 기존그룹 조직을, 개인금융·기업금융·자산관리·그룹총괄센터 등 4개의 사업부문(BU·Bisiness Unit)으로 재편하기로 한 것이다. 이같은 조직 재편에 대해 금융권에서 기대와 우려가 엇갈리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하나금융이 글로벌 금융그룹처럼 매트릭스 조직으로 재편함으로써 금융그룹으로서의 위상이 강화될 것”이라는 관측과 함께, 일각에서는 “하나금융의 경우 은행 편중 현상이 두드러져 매트릭스형 조직 개편에 따른 시너지 효과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 시너지효과 극대화 장점
하나금융은 그룹을 사업별로 묶어 각 부문 총괄 부회장을 두는 등의 조직개편을 단행한다는 방침이다. 개인금융 담당 부회장에는 하나은행장으로 내정된 것으로 알려진 김정태닫기


하나금융측은 이들 부회장들을 주축으로 은행, 증권, 보험 등 법인 중심의 기존 조직을 기능별·사업별로 묶는 ‘매트릭스 형’조직으로 재편한다는 것이다.
매트릭스 조직은 수직적인 법인조직과 함께, 지역·상품·고객 등 기능별로 구성된 수평 조직을 함께 갖추고 있는 체제로 씨티그룹 같은 글로벌 금융지주회사에서 운영되고 있는 형태다.
매트릭스 조직의 장점은 그룹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한국의 은행계 금융지주사들은 대개 은행 중심의 경영체제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에 따라 비은행부문의 실적이 상대적으로 떨어졌던 것이 사실이다.
매트릭스 조직을 운영하게 되면 은행과 비은행간 유사한 사업부문이 협조체제를 유지하게 되면서, 시너지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것이 금융권의 대체적인 평가다. 또한 복잡한 금융시장 상황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고, 조직과 인력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으로 꼽힌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급변하는 금융시장 환경에 대체하기 위해서는 기존 수직적 조직만으로는 대응하기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며 “매트릭스형 조직으로 재편되면 금융시장 변화에 대처해 은행, 증권, 보험 등의 구분 없이 유기적으로 사업할 수 있고, 의사결정도 빠르게 내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밝혔다.
◇ 은행편중 현상이 걸림돌
이같은 장점에도 불구, 매트릭스 조직에 대해 금융권에서는 부정적인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매트릭스 조직이 국내 금융계 현실에 부적합하다는 지적이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씨티그룹 등 글로벌 금융그룹의 경우, 광범위한 지역과 국가, 고객 등을 상대로 복잡한 매트릭스 조직을 꾸리고 있다”며 “이에 반해 한국의 금융지주사는 규모나 고객층 등이 상대적으로 빈약한데 매트릭스 조직이 시너지효과를 발휘할 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특히 매트릭스 조직을 처음 도입한 하나금융의 경우, 매트릭스 조직 재편에 대해 기대와 우려가 엇갈린다. 일각에서는 “국내 금융지주회사들이 시너지효과 극대화를 위해 장기적으로 매트릭스 조직 형태를 갖춰야 하는데, 하나금융이 과감한 결단을 내렸다”며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반면, 또 다른 한편에서는 “비은행부문에서 규모가 작은 하나금융이 너무 빨리 매트릭스 조직 재편을 단행한 것이 아니냐”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금융지주사 관계자는 “하나금융은 자산이나 이익면에서 은행 편중 현상이 심하다. 이에 비해 카드, 증권, 보험 등의 자회사는 포트폴리오가 약한 것이 사실”이라며 “이런 상황에서 매트릭스 조직 재편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지는 의문”이라고 밝혔다.
이에 반해 구용욱 대우증권 연구원은 “하나금융이 금융지주사로서는 처음으로 매트릭스 조직을 운영하는 만큼, 이를 판단하기에는 아직 이르다”며 “매트릭스 조직 구조를 활용한 비은행 부문의 강화를 계획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고 설명했다.
김은갑 NH투자증권 연구원도 “매트릭스 조직이 자회사간 사업부문의 충돌을 피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하지만 지주사가 조율을 잘못할 경우 자회사 조직과 매트릭스 조직간 혼선이 빚어질 위험성도 있다”고 말했다.
즉 조직 구성원에 대한 통제가 자회사의 대표와 사업부문 대표 등으로 분산될 경우 조직이 흔들릴 수 있다는 지적인 셈이다. 이에 대해 하나금융 관계자는 “부문별 최종 결정과 결제는 각 사업부문 대표가 가지게 되며, 이로 인한 혼선은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
정하성 기자 haha70@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