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은행은 지난 1월 16일 대규모 정기인사를 단행하면서 비어있는 임원자리 2개를 공석으로 남겨뒀다. 이에 대해 지난해 말 취임한 윤 행장이 업무파악이 끝날때까지 임원 인사를 미루고 있다는 시각과 함께, 새정부 출범 이후 임원 인사를 단행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대통령직 인수위는 청와대 등에 새정부 출범 이전에 고위직 공무원 등에 대한 인사를 자제해줄 것을 여러 경로를 통해 요청한 바 있다.
이에 따라 기업은행 임원인사가 새정부 출범이후 이뤄질 것이란 의견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 기업은행의 등기임원인 이사직은 은행장이 추천해서 재경부 장관이 임명을 하고, 이사 대우는 은행 자체적으로 선임할 수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책임경영 차원에서라도 기업은행의 임원인사가 조속히 단행돼야 하는 것이 맞다” 며 “하지만 인수위가 고위공직자 인사를 자제해달라는 요청이 오면서, 기업은행 임원인사가 미뤄지고 있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여기에 일각에서는 윤 행장이 임원을 외부에서 영입할 것인지, 아니면 내부 인사를 선임할 것인지를 놓고 고심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지난해 3월 기업은행의 정관 개정으로 외부 인사 선임이 가능해졌다.
따라서 윤 행장이 외부 인사를 영입할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는 것이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직원들의 신망이나 능력, 그리고 전문성 등을 겸비한 인사가 임원이 돼야 한다”며 “기업은행의 경우 중소기업분야에서 특화된 은행임으로 외부인사의 경우 전문성 등에서 자질이 부족할 가능성이 많아, 내부 인사가 발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정하성 기자 haha70@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