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은행이 대우증권과 IB업무제휴를 체결한데 이어 부산은행도 현대증권과 IB업무제휴를 사실상 확정, 현재 MOU체결식만 남겨놓고 있는 상황이다.
17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부산은행은 자통법을 대비해 IB부문의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현대증권과 IB업무 전략적 제휴에 잠정 합의했다. 이는 은행과 증권사간의 두 번째 IB업무제휴로 부산은행이 자본시장통합법 시행에 발맞춰 종합 금융그룹으로 도약하기 위해 첫걸음을 내딛은 것으로 보인다.
◆ 제휴 통해 IB특화 나선다
부산은행은 최근 현대증권과 업무제휴에 대한 합의를 마치고 현재 MOU체결식만을 남겨둔 상태다. 업무제휴 방향은 IPO, M&A 업무 등을 중심으로 지난달 대구은행과 대우증권의 IB업무 제휴와 유사하다.
이와 관련 부산은행 고위 관계자는 “구두상의 약속은 이미 했으나 세부적인 일정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며 “증권사들과 많은 접촉을 해왔지만 계약이 완전히 체결되면 현대증권과의 업무제휴가 주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앞서 대구은행은 지난 달 29일 대우증권과 IB업무 전략적 제휴를 체결했다. 그 결과 대우증권에서 추진하는 M&A, 사모투자펀드(PEF), 인수금융 등에 대구은행은 우선 투자자로 참여할 수 있고, 대우증권 역시 대구은행으로부터 대구·경북지역의 기업고객 정보를 제공 받아 IPO, 회사채 발행, 자기자본투자(PI) 등에 적극 활용할 수 있게 됐다.
대구은행 투자전략부 관계자는 “서로 시너지를 일으킬 수 있는 업무 영역의 구체적인 방안을 협의 중에 있다”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신수익원을 발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 그는 “지난 3년 동안 IB업무가 금융시장의 블루오션이 될 것으로 판단하고 IB투자를 적극적으로 확대해 왔다”면서 “이번 전략적 제휴를 토대로 투자영역을 보다 확장해 자산운용의 효율성을 높여 수익원을 확대 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대구은행은 수익구조를 예대마진보다 비이자 수익에 무게중심을 둠으로써 투자금융부문 실적이 1분기 191억에 이어 2분기에도 244억원의 유가증권 매각 이익을 냈다.
그간 대구은행이 투자부분을 강화하는 등 비이자 이익을 위해 역량을 집중한 결과가 서서히 나타나고 있다는 전문가의 분석이다.
◆ 규모한계 극복 관건
이렇듯 지방은행들은 증권사와의 제휴를 통해 향후 생존전략 모색에 나서고 있다. 일반 시중은행과 달리 자통법 시행에 대비해 증권사 인수 및 해외진출 등이 어려운 지방은행으로서는 업무제휴로 수익원을 찾고 이를 다변화 시킬 수밖에 없다.
실제로 국내 시중은행들의 경우 규모를 앞세워 글로벌 시장의 진출을 꾀하는 등 다양한 사업다각화를 펼치고 있지만 지방은행은 여전히 지역밀착형 영업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 금융 전문가는 “지방은행은 지역밀착경영을 더욱 굳건히 하면서 지역 중소기업에 대한 관계금융(relationship banking)과 투자은행(IB) 업무를 강화해 나가는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구은행 이화언 행장도 “IB는 고도의 전문성과 상품개발기술, 기업분석 및 자금력이 필요하지만 대기업이나 초일류 기업만을 대상으로 하는 IB만 있는 것이 아닌 만큼, 지역은행의 실정에 맞는 IB 서비스의 제공에 주력해 나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IB서비스를 특화한 종합금융사로 거듭나기 위해선 현실적으로 헤쳐 나가야 할 어려움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부산은행 한 관계자는 “지방은행으로서 종합금융그룹으로 도약하기에는 많은 역량이 필요하지만 다각화 전략과 함께 모든 업무에 진출하기는 현실상 어려움이 많다”고 토로했다.
또“지금은 초창기인만큼 지방은행의 장점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지역 내 기업들의 M&A 등 세부적인 성장전략을 마련 중에 있다”고 덧붙였다.
배규민 기자 bk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