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감원 `문제 없다` 재차 강조
금융감독원 노태식 부원장보는 14일 “국내 부동산 PF 대출은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와 성격이 다르고 몇 년 전부터 예의주시하며 관리해 왔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금융 감독당국은 지난 12일 PF 총액을 공개하면서 부실화 가능성이 적다고 발표했다.
노 부원장보는 이날 방송에 출연해 “금융권의 6월말 현재 부동산 PF대출의 규모는 약 70조원으로 총 대출의 4.8%, 총 자산의 2%에 불과해 관리 가능하며 과다한 수준이 아니다”고 말했다.
노 부원장보는 “저축은행은 다른 금융회사에 비해 PF 대출 비중이 높고 연체율이 취약하지만 PF 대출 비중을 총 여신의 30% 이내로 유지하고 결산때 이익 배당을 줄이고 충당금을 많이 쌓도록 하는 등 건전성 관련제도를 보완했기 때문에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와 관련 기관은 PF 대출 상황을 분석하고 예의주시하며 필요하면 대책을 세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일부 금융권
반면 한국투자증권은 14일 보고서를 통해 “올해 말까지 분양가 상한제를 피하기 위한 주택 공급물량이 집중될 것이며 지방 미분양주택 증가세가 계속 이어져 부동산 PF에 대한 걱정이 기우로만 끝나진 않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보고서는 그 근거로 은행의 PF 대출 잔액 중 아직 분양에 들어가지 않은 물량이 전체의 53%로 이미 분양에 들어간 물량(47%)보다 많다는 점을 들었다.
미분양 물량이 많아지면 시행사에 돈을 빌려준 금융회사들의 연체율이 급등해 부동산 PF 비중이 큰 저축은행과 지방은행의 부실 가능성이 높아진다.
실제 최근 불거진 대주건설 사태는 PF 부실 우려가 단순한 기우가 아님을 보여준다. 시행사가 부도나자 시공사인 대주건설이 350억원의 빚을 대신 갚아야 했다. 하지만 이처럼 시행사 부도로 시공사가 돈을 대신 갚아야 하는 사태가 앞으로도 이어질 전망이다.중견건설사인 P사 관계자는 “연대보증이나 지급보증을 한 시공사마저 자금 여력이 충분치 않을 경우 연쇄 부도 사태에 따른 금융시장 혼란이 올 것”이라고 말했다.
고재인 기자 kj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