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대투운용 노동조합과 UNI(Union Network International:국제사무직노조연합), 민주노동당 심상정 위원은 성명서를 통해 “이번 UBS와 하나금융지주의 대투운용 매각합의는 국내외 투기자본의 합작품”이라면서 “금융당국이 UBS의 주주자격 승인 심사에 대해 투명하고 면밀한 조사를 실시 해 줄 것”을 강력 요구하고 나섰다.
성명서에 따르면, 지난 5월 11일 대투운용의 최대주주인 하나금융지주와 UBS의 ‘대투운용매각 합의’로 하나금융지주는 지난해 5월 대투운용을 180억에 매입한 이후 불과 2년만에 지분 51%를 1,800억에 매각함으로써 1,600억원 수준의 막대한 매각차익을 누렸다는 것.
김경수 대투운용 노조지부장은 “대투 운용의 가치가 불과 2년만에 주당 2,000원에서 주당 39,216원으로 20배나 증가했다”면서 “공적자금 관리주체인 예금보험공사와 감독기관인 금감원 역시 대투운용 헐값 매각이라는 의혹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UBS는 대투운용 인수 이후 고용보장을 요구하는 직원들에게 ‘1년 보장, 1년 재협상’을 주장하며, 직원들의 생존권 마저 보호해 주지 못하는 상황이라는 설명이다.
특히 노조측과 UNI는 최근 불거졌던 UBS의 불법행위를 강력 규탄했다.
성명서는 “UBS는 최근 미국 SEC로부터 미국 국채가격의 시세를 조작한 혐의로 조사를 받고 있는 등 각종 불법거래로 법적조항을 어기고 있다”며 “또한 헤지펀드 주식 트레이더들에게 부적절한 방법으로 종목 투자의견 변경정보를 제공했다는 의혹으로 뉴욕주 연방검찰로부터 조사를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즉 해외에서 잇따라 반복적인 불법행위를 일삼고 있는 대주주측의 경영행태와 관련 금융당국에서도 적극적으로 나서 제재 여부를 투명하고 면밀하게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한편 이같은 노조측과 UBS간의 내부 마찰 상황에 대해 업계관계자들도 우려섞인 반응을 내놓고 있다.
자산운용업계 한 관계자는 “대투운용은 국내 자산운용업계의 양 대 산맥으로 그 명성을 이어 온 자산운용업계의 대표격 중 한 곳”이라면서 “최근 외국계 운용사들과의 합작이나 진출로 인한 변화의 구도속에서 국내 자산운용사의 맏형인 대투가 좀 더 모범적이고 투명한 모습을 보여 합작진출사로서도 성공적인 모습을 보여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경아 기자 kak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