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신증가속도 증가세가 둔화되면서 방어수단으로 각 저축은행들이 앞다퉈 금리인상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12일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지난 8월부터 시작된 금리인상은 10월이 되면서 붐을 이루며 지금까지 40여개에 달하는 저축은행이 금리를 올렸다.
10월 11월 두달 동안 새누리 삼화두리 토마토 예가람 현대스위스 삼화 삼신 프라임 미래 삼성 한서 신라 등 12개 저축은행이 특판 상품을 출시했다.
이에 따라 저축은행의 평균 예금금리는 9월초까지 연 5.22%~5.23%였던 것이 지난 10일 현재 최고 5.35%까지 치솟았다.
저축은행업계의 금리인상 도미노 현상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현재 최고 5.7% 수준의 금리도 조만간 깨질 것으로 보고 있다.
계절적인 자금수요로 인한 여신의 증가속도를 수신증가속도가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데다, 만기가 몰리는 시기를 맞아 고객 이탈을 막기 위해서는 고금리를 계속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두달전만해도 업계는 여유자금이 남아 걱정했다.
먼저 저축은행의 주 고객층인 노년층이 최근 부동산 급등상황을 지켜보고 예금을 빼 부동산에 투자하기 시작했다.
이런 상황에서 정기예금의 만기가 집중적으로 돌아오기 시작하면서 업계는 고객 재유치를 위한 필승의 카드로 금리인상을 꺼내들 수 밖에 없다.
특히 지난해 고금리 경쟁을 한창 벌일 때 예금을 재유치하기 위해서는 당시에 상응하는 금리를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금리인상 부담을 더욱 커지고 있는 게 사실이다.
이 같은 금리인상은 타 저축은행을 자극해 추가적인 금리인상을 하게 만드는 도미노현상까지 만들고 있어 업계 내부에서도 걱정하는 목소리가 많다.
업계 관계자는 “저축은행 고객들은 분산예치를 하기 때문에 금리인상추세를 따라가지 못하면 예금이 빠져나가 피해가 발생할 것”이라며 “저축은행들끼리 서로 고객 뺏기를 벌이는 것 같아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 같은 상황을 바라보는 감독기관의 기분도 편치가 않다. 수익성악화가 걱정되기 때문이다.
금감원은 지난해 금리인상붐을 저지한 덕에 결산에서 금리인하효과로 1800억원의 수익이 발생했다며 금리인상을 자제할 것을 요구하는 분위기다.
한기진 기자 hkj7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