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정원 행장은 16일 취임1주년 기자간담회를 갖고 “(외환은행 인수와 관련해) 관심을 갖고 지켜보고 있다”며 인수전에 뛰어들 가능성을 시사했다.
강행장은 특히 “경쟁환경의 중요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상황에 관심을 안 가질 수 없다”고 했으며 “국민은행은 선택의 폭이 넓다”고 말했다.
김동원닫기

따라서 외환은행 인수에 강한 매력을 느끼고 있는 것은 분명해 보이며 아예 인수전에 뛰어들 생각으로 최종 저울질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은행 한 고위관계자는 “설사 공정거래위원회가 정한 독과점 기준에 근접하더라도 SK텔레콤 사례처럼 유예기간을 거칠 경우 충분히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견해를 내놨다.
또한 강행장은 올해까지는 내부역량강화에 힘을 쏟았다면 내년부터는 영업력 강화에 나서겠다”며 공격적 영업으로 전환할 뜻을 강조했다.
이에 대해 금융계 전문가들은 국민은행의 외환은행 인수는 외환시장 점유율과 글로벌네트워크 등 취약했던 분야를 단숨에 수위로 끌어 올리고 은행 산업 구도를 양강체제로 고착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배제하기 힘든 선택일 것으로 내다봤다.
한 대형은행 고위관계자는 “현금 동원력 면에서 국내 은행 가운데 국민은행 만한 곳이 없다”고 “국민은행의 외환은행 인수가 이뤄지면 은행산업이 신한조흥 합병은행과 격차를 적잖이 벌린 상태에서 양강체제로 고착시키게 돼 우리, 하나 등의 은행에겐 악재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다른 은행 한 고위관계자는 “강행장의 공식 발언을 미뤄 볼 때 최종 의사결정이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에 속내를 드러내지 않은 것 같다”며 “의사결정만 이뤄진다면 가장 강력한 인수후보가 될 공산이 크다”고 내다봤다.
미래에셋증권 한정태 애널리스트는 “은행이 성장하려면 새 고객을 창출할 수 있으면 좋은데 어차피 불가능하기 때문에 답은 M&A 뿐”이라며 “물론 비지니스 모델을 다른 쪽으로 확대하는 게 바람직한데 외환은행과의 궁합은 나쁘지 않다”고 지적했다.
정희윤 기자 simmoo@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