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일각에서는 현 상황에서 저축은행의 금리인상은 어쩔수 없는 일이지만 자칫 잘못하면 자금운용의 악화를 불러와 저축은행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며 비과세 상품 도입 등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 은행이 올리면 저축은행은 따라간다
저축은행업계가 최근 특판행사를 통해 수신금리 인상에 돌입했다. 이는 한국시티은행, SC제일은행 등 외국계 은행들을 필두로 한 은행권의 특판경쟁 열풍에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처음 금리인상에 나선 것은 삼화저축은행. 삼화저축은행은 지난 20일 연 4.8%의 1년만기 정기예금 금리를 연 5.1%로 인상조정했다. 또한 자금의 집중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18개월 만기의 경우 5.2%, 2년 만기는 5.3%로 각각 차등 인상했다.
프라임저축은행도 지난 26일 1년만기 정기예금을 연 4.8%에서 연 5.0%로, 18개월 만기의 경우 연 5.3%로 금리를 인상했다.
■ 불가피하다지만 최선책은 아니다
저축은행업계는 최근 금리인상에 대해 시중은행과의 금리격차를 위해선 어쩔수 없는 일이라고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처럼 저축은행업계는 과거 30년동안 업계의 자금운용상황과는 상관없이 시중은행의 금리에 맞춰 금리정책을 펼쳐 왔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러한 금리정책이 과거와는 달리 위험요소가 다분히 깔려있다고 주장한다.
한 업계관계자는 “과거에는 저축은행만의 여신시장도 있었고, 고금리로 조달됐다곤 하지만 이를 풀 여신시장이 존재해 문제가 적었지만 최근에는 시장상황이 완전히 틀리다”면서 “가뜩이나 안정적인 여신처 마련이 어려운 상황에서 고금리 정책을 펼 경우 역으로 자금악순환을 가져올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현 상황에서는 금리를 더 내려야 할 때”라며 “올초 금리인하로 수익이 증대됐다는 점을 감안하면 현재의 상황은 시중은행의 공세로 인해 그만큼의 수익을 포기하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우려와 함께 비과세 상품도입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저축은행의 부담을 줄이면서 서민들에게 좀더 값싼 금리로 대출을 시행하기 위해선 정부가 고금리 자금조달의 부담을 줄여줘야 한다는 주장이다.
안영훈 기자 anpress@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