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트레이딩의 개념이 국내에 처음 도입되던 시기에는 시스템의 속도, 안정성 등의 하드웨어 측면이 중요시 되었고, 이에 따라 대부분의 증권사는 기술적 오류와 서비스 속도 개선에 중점을 두어 시스템 개선에 박차를 가하였다.
이후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시스템 인프라가 갖추어졌고, 온라인에 대한 사용자의 이해와 직접 투자에 대한 욕구가 확대되면서 증권사들은 점차 매매 및 정보검색과 관련한 다양한 기능 중심의 컨텐츠를 쏟아내었다.
하지만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는 말처럼 방대한 컨텐츠와 다양한 매매 기능들은 그 활용도가 매우 떨어지게 되었고 고객 스스로가 자신에게 적절한 서비스와 기능을 이용하는 것은 매우 고민스런 일중의 하나가 되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점차 증권사들은 사용자의 투자성향과 개별 성향을 고려하게 되었고 맞춤화면, 맞춤검색, 맞춤정보 등의 개인화 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여전히 아쉬운 점은 HTS가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재산 증식을 위한 투자수단으로서 간주되는 것이 아니라 전문적인 기술과 화려한 기능의 집합체로서의 상품화가 되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증권사들은 다시 한번 HTS의 역할과 의무를 충분히 심사숙고 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HTS를 온라인 채널의 하나라고 명명하고, 이러한 채널은 투자자와 증권거래를 이어주는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협소한 정의로 치부하자면 HTS는 고객이 증권거래를 편하고 쉽게 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도구인 셈이다. 대다수의 고객들은 그러한 편리함과 화려한 기능에는 어느 정도 점차 익숙해져 가고 있고 이러한 익숙함은 어느 증권사의 서비스를 선택하더라도 충분히 자신의 기본적인 매매 욕구를 채우기에 충분하다.
따라서 단순 도구가 아닌 고객의 충성도 고취와 그들의 이탈을 방지하고 궁극적으로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재산 증식의 수단으로서의 HTS의 정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언뜻 멀게만 보이는 “서비스 차별화”라는 의미도 어쩌면 고객중심의 투자기반에서 생각해본다면 매우 단순한 논리가 될 수도 있는 것이다.
고객이 HTS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은 거래를 편리하고 쉽게 할 수 있다는 측면 이외에 HTS에 기대어 성공적인 투자를 이루어내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여전히 증권사들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그리 쉽지만은 않은 몇몇 핵심 서비스를 이야기 해보고자 한다.
첫 번째로는 고객이 원하는 우량 종목의 발굴이 가능한 종목검색 기능이다. 자산규모가 큰 고객들을 위한 자산관리 서비스와 같은 간접투자 형식이 아닌 개인 투자자들이 직접적으로 투자의 원칙을 정하여 스스로 투자 종목의 선택 기준을 세웠을 때 기준을 충족시키는 종목을 알려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일반 개인투자자들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HTS의 제공이 필요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선택되어진 종목들을 사용자의 직관적인 판단에 의한 매매가 아닌 적절한 매매타이밍을 포착할 수 있는 정보에 대한 제공 또한 필요한 것이다.
두 번째로는 개인고객이 리스크 매니지먼트를 직접 할 수 있는 분석 기능 및 정보의 제공이다. 급변하는 시장에서는 우수한 종목을 선택하여 매매가 가능하더라도 여러 가지 내적/외적 위험 요인을 투자자가 개인적으로 관리하고 분석하는 것은 한계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개인고객들의 리스크 매니지먼트가 가능할 수 있도록 시장 및 종목에 대한 정보를 보다 적극적으로 제공하여 고객의 보유종목 및 계좌에 대한 관리가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세 번째로는 주식뿐만 아니라 여러 금융상품 등 다양한 대상으로의 투자가 가능한 포트폴리오 매니지먼트 서비스의 제공이다. 다양한 투자 성향 및 목적에 맞는 종목의 선택 및 리스크 관리 서비스와 함께 요구되는 것은 일반투자자들의 포트폴리오 구성에 대한 제안 및 관리인 것이다. 이는 자산의 규모가 큰 고객들만이 누릴 수 있었던 자산관리 서비스를 개인투자자들에게 까지 확대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현재 제공되어지는 다양한 금융상품을 개인고객들이 쉽게 접근하여 매매하고 자신의 포트폴리오를 다양화 시킬 수 있도록 적극적인 상품의 안내 및 접근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HTS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개별 고객만의 투자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충족시켜야 한다. 향후 HTS의 개선 방향은 고객이 자산을 늘릴 수 있는 직접 투자의 적극적인 활용 수단으로서의 HTS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과거의 기능 중심의 개선에서 벗어나 개별 사용자의 투자성향을 고려한 종목검색 및 고급 투자정보의 확대를 통한 서비스의 업그레이드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고, 홈페이지의 업그레이드에서도 재테크 및 투자/리서치정보의 적극적인 제공과 함께 상담서비스를 확대를 통해 기존 고객의 자산규모의 확대를 위한 방안과 신규 고객들의 유치에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관리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