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도 채권도 아닌 절충형의 특성을 가진 ELS의 경우 어느 정도 위험도 존재하지만 현재 정기예금 금리의 2∼3배 이상 수익을 낼 수 있다는 강점으로 인해 틈새상품으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높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또한 향후 저금리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면서 공격적인 구조를 가진 ELS가 인기를 끌 것이란 전망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6∼8월 석 달간 삼성 LG 등 8개 증권사 및 한투 대투의 ELS, ELF 판매실적은 모두 1조7837억원 가량으로 집계됐다.
지난 6월부터 8월까지 석 달간 증권사들의 실적이 매월 증가하고 있으며 이같은 추세는 하반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대형사 ELS판매실적을 보면 삼성 807억원(6월) 890억원(7월) 1406억원(8월), 굿모닝신한 389억원(6월) 1243억원(7월) 1892억원(8월), LG 295억원(6월) 1168억원(7월) 1600억원(8월), 대우 172억원(6월) 267억원(7월) 943억원(8월)으로 매월 호전되는 추세다.
현대도 지난 7월 뒤늦게 판매를 시작한 상황에서 8월말 현재 1257억원의 실적을 기록해 향후 전망을 밝게 내다보고 있다.
특히 8월 들어 800을 기점으로 불안한 장세가 이어지고 금리가 인하되자 투자자로서 주식형펀드에 가입하기엔 부담이었으며 특히 우량주를 기초자산으로 한 구조도 시장에서 먹혀들었기 때문에 ELS판매가 급증했다고 전문가들은 설명했다.
이와 함께 한투증권과 대투증권도 8월 한 달 동안만 각각 532억원, 566억원의 실적을 내는 등 판매고가 대폭 증가했다.
반면 동원의 경우 495억원(6월) 597억원(7월) 52억원(8월)으로 최근 석 달간 하락세가 이어졌다. 금리 인하에 따라 수익률이 낮아지자 동원에서 주로 취급했던 원금보장형 상품만의 장점이 소진된 것이 실적 저조의 주요 원인으로 여겨진다.
ELS와 ELF 판매의 하반기 전망은 일단 밝을 것으로 보인다.
대투 상품개발팀 이상훈 차장은 “상품 구조에 따라 판매금액이 다르긴 했지만 금리의 추가 인하 가능성이 점쳐지면서 여타 금융상품에 비해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리스크를 조금 감안하더라도 공격적인 구조를 갖는 ELS와 ELF의 판매는 하반기에도 이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 차장은 또 “현재 대투에선 투스탁형 등 조기상환형 상품의 경우 없어서 못 팔 정도”라고 덧붙였다.
굿모닝신한 김상효 과장도 “금리가 계속 빠지는 상황일수록 ELS 등 주식형파생상품이 돋보인다”며 “주식도 채권도 아닌 절충형으로써 틈새시장의 한 부분을 차지할 것”이라고 긍정적으로 전망했다.
최근 석 달간 증권 투신사
ELS 및 ELF 판매액
(단위 : 억원)
홍승훈 기자 hoony@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