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은행 수신도 정기예금과 수시입출식에선 자금이 빠져나가는 대신 단기시장성자금이 4조8000억원 늘고 실세요구불이 3000억원 늘어났다. 단기부동화된 자금이 금융권을 옮겨 다닐 뿐 여전히 투자처를 찾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5월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1분기중 월평균 9000억원에 달했던 은행수신은 4월중에는 8000원으로 감소했으나 5월 들어 4조4000억원으로 급증했다.
은행들이 앞다퉈 적극적으로 양도성예금증서(CD)를 발행해 자금유치에 나서면서 이를 통해 유입된 규모가 3조2000억원에 달하는 등 단기시장성 유입자금이 4조8000억원으로 확대됐기 때문이다
반면 1분기중 월평균 5조7000억원까지 넘쳤던 투신사수신은 4월중에는 2조5000억원으로 감소하더니 급기야 5월중에는 1조4000억원으로 뚝 떨어졌다.
특히 채권형 수익증권이 시장금리 하락세 지속 등에 힘입어 2조2000억원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투신권의 대표적인 단기상품인 MMF 수신이 투신안정기금 청산의 영향으로 감소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한국은행측은 “은행수신은 분기말 원화유동성비율 등을 위한 CD(양도성 예금증서)발행 확대에 힘입어 증가세가 두드러졌으나 투신사 수신은 투신안정기금 청산의 영향으로 감소세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기업 자금 조달 규모는 회사채가 5월중에도 6000억원어치 순발행돼 석달째 순발행 기조가 이어졌다. 그러나 은행대출의 증가폭이 1조3000억원으로 축소되고 CP가 무려 1조7000억원어치 순상환되는 바람에 전체적으로 3000억원 늘어나는데 그쳤다.
정희윤 기자 simmoo@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