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금융계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주요 은행들이 차세대시스템 도입 과정서 수출입, 환대사, 송금, 무역망 등 기존 외환시스템 개선을 우선시 하고 개방성과 확장성에 대비, 웹과 CBD 방식의 솔루션을 기본시스템으로 채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이버이메지네이션은 최근 외환금융 솔루션 ‘anyFX’를 개발, 은행권 시장에 진출했다.
‘anyFX’는 외환업무시스템, 외환리스크관리시스템, 국제금융시스템 등으로 구성돼 있다.
시스템 특징은 객체지향적인 CBD 기반의 업무설계와 닷넷 기반의 아키텍쳐와 다른 기반의 기술로 확장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된 것.
사이버이메지네이션 관계자는 “anyFX는 국제 무역과 금융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최적의 외환솔루션”이라고 설명했다.
모스텍은 최근 한국산업은행 해외지점에서 가입, 운영하던 스위프트 시스템을 본점에서 일괄 관리할 수 있는 ‘아시아지점 스위프트 통합 시스템’을 구축 완료했다.
이 시스템은 각각 개별로 가입, 관리되고 있는 해외지점의 스위프트 망을 본점으로 통합시킨 것으로 본점에서 스위프트 시스템의 유지보수관리가 용이하고 간편한 것이 장점이다.
또 원활한 스위프트넷으로의 전환, 이에 따른 시스템의 효율적인 관리 및 업무의 연계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밖에 IMS시스템, 옥타소프트, 소프트그램 등이 외환시스템 시장에서 관련 시스템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현재 우리, 외환, 기업은행은 외환시스템을 구축중에 있다”며 “농협, 국민, 제일, 대구, 부산은행 등이 곧 외환시스템과 관련해 프로젝트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신혜권 기자 hksh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