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1월15일로 개인용 공인인증서 유료화 방침이 결정된 가운데 인증서 가격이 예상보다 낮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또 인증서 가격과 관계없이 새로운 부가서비스 제공을 통한 수익창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1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정보통신부가 최종 결정하게 될 개인용 공인인증서의 가격이 공인인증기관간 입장차이로 5천원 미만이거나 최악의 경우 2천원 정도로 정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금융결제원의 경우 400만 정도 인증서를 발급함에 따라 단가가 낮더라도 전체적인 수익은 상대적으로 커 여타 기관들의 사정과는 크게 다르다.
한국증권전산과 한국무역정보통신은 주 고객층이 기업들로 인증서의 가격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정보통신부도 기관마다 인증서 가격을 다르게 했다가 낮은 쪽으로 인증서 발급이 몰리는 것을 방지하고자 가격을 비슷한 수준으로 결정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영향력이 큰 몇몇 공인인증기관과 정보통신부의 입장이 맞물려 낮은 가격으로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업계는 인증서 가격에 연연하지 않는 분위기다.
가령 인증서 가격이 5천원이 되더라도 인증서 발급만으로 수익을 맞추기 어렵다는 것.
업계 관계자는 “770만 정도로 추산되는 인증서수를 감안할 때 가격이 크게 높지 않으면 6개 공인인증기관이 나눌 수 있는 파이에 한계가 존재한다”고 말했다.
개인용 인증서발급은 기본적인 서비스 차원에서 제공할 뿐 수익사업으로 하기에는 부족하다고 업계는 분석한다.
이에 따라 업계는 새로운 부가서비스 즉 암호키관리기반(KMI)과 시점확인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KMI는 일명 서명키위탁서비스로 개인용 컴퓨터에 인증서를 발급받아 저장했다가 하드 포맷등의 사정으로 인증서가 삭제될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공인인증기관에 위탁보관하는 서비스다.
또 외부에서 온라인 주식거래와 같은 인증서를 사용해야 하는 일이 발생하는 경우 공인인증기관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시점확인서비스는 특정시간에 전자문서의 소유나 존재사실을 공식 증명할 수 있는 서비스로 일반 전자서명에 비해 확실한 증빙효력을 갖고 있다.
전자상거래의 확산과 함께 시점확인서비스의 필요성이 커지는 상황으로 앞으로 시장전망이 밝다는 게 업계 전문가들의 견해다.
한기진 기자 hkj7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