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규모가 1조575억원으로 가장 큰 산업은행은 유지창 총재가 직접 나서 긍정적인 사인을 보내고 있다. 유 총재는 2일 기자들과 만나 "전체적으로 약 1조원의 자구안은 당초 채권은행장들이 주문한 수치에 근접한다"며 Sk측의 자구안 수용의사를 내비쳤다.
조흥은행 관계자는 "법정관리보다는 회생으로 방향을 잡고 타협을 보는 것이 우선적이라고 본다"고 말했으며 외환은행도 "신규자금지원 등 채권단 입장에서 불리한 몇가지 조건들이 수반되지 않는다면 당연히 회생을 시키는 방향으로 합의점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국민은행은 일단 채권단과 SK가 살마리를 찾고 있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SK측과 채권단이 의견접근을 보고 있는 것은 긍정적"이라며 "실마리는 찾아가고 있다고 평가한다"고 말했다.
반면, 우리은행은 "8500억원이라는 출자전환 규모만 중요한 것은 아니다"며 "최종 자구안을 받아 전체적으로 분석해 봐야 한다"며 다소 유보적인 자세를 보였다. 수출입은행은 출자전환규모 1조원을 고수해야 한다는 다소 강경한 입장을 유지했다.
수출입은행 관계자는 "국내 매출채권 기준 출자전환액 1조원은 고수해야 한다"며 "1조원이라는 숫자를 받아들이는 것은 기본"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EBITDA나 최태원닫기

신한은행 관계자는 "출자전환규모도 중요하지만 EBITDA문제에 대해 좀 더 강도높은 보장책이 필요하다"며 "EBITDA 계획 미달성시 추가되는 출자전환규모 1000억∼2000억원은 실제 EBITDA 미달성으로 인한 경영악화 규모와 비교할 수 없는 사항"이라고 강조했다.
강종철 기자 kjc01@epayge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