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는 29일 채권단의 `글로벌 청산엄포`에 맞불작전으로 나서는 한편 채권단에 재협상을 요구하는 등 여론조성과 대화제의라는 두가지 카드를 동시에 빼들었다. SK측은 글로벌사태가 파국으로 치달을 경우 은행등 채권단은 5조원에 달하는 손실을 입게 되고 국가경제에 막대한 타격을 가할 것이라며 채권단의 `이성적인 판단`을 요구하는가 하면, 오후들어 채권단에 수정된 자구안을 내겠다며 재협상을 요구했다.
그러나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기업구조조정에 이골이 난 채권단은 SK측의 엄포에 대해 `상대하지 않겠다`는 분위기며 대화제의에 대해선 응하겠다는 입장이다.
채권단 관계자는 "외환위기 이후 숱한 구조조정 작업을 해 봤지만 채권단 공동관리로 끌고 갔을 때 채권단이 입는 손실규모가 컸던 사례가 더 많았다"며 "SK글로벌의 부실규모가 드러나던 시점부터 글로벌 회생에 의문을 제기하는 채권단이 많았다"고 설명했다.
채권단 다른 관계자는 하이닉스 사례를 예로 들면서 "당시 채권단이 시장논리에 따라 엄정하게 처리했다면 은행의 손실은 오히려 줄어들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당시 하이닉스 지원에 발을 담군 은행들은 울며 겨자먹기로 상당기간 밑빠진 독에 물을 부었다"고 덧붙였다.
채권단 자율에 의한 상시구조조정은 엄정한 경제논리에 기반해야 하며 당장의 손실에 연연해 하다가는 더 큰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 관계자는 "은행이 멀쩡한 기업 잡아먹자는 심산으로 일을 처리하는 것은 아니다"면서 "SK측이 이해할 만한 수준의 자구안을 내놓은 후 금융권에 협조를 구하는 것이 도리"라고 강조했다.
강종철 기자 kjc01@epayge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