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위 성경륭 기획조정분과 위원은 "지난해 민주당 경선과 월드컵, 대선에 이르기까지 새로운 시대의 힘이 분출됐고 힘의 중심에는 국민이 있었다"면서 "노무현 정부는 국민참여의 힘으로 탄생한 정부며 향후 국정운영에서도 국민의 참여가 핵심적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인수위는 또 새 정부의 지향점을 합리적 개혁정부, 국민통합정부, 열린정부, 희망의 정부 등으로 설정했다.
새 정부의 `3대 국정목표`는 국민과 함께 하는 민주주의, 더불어 사는 균형발전 사회, 평화와 번영의 동북아 시대로 결정됐다. `4대 국정원리`는 ▲원칙과 신뢰 ▲대화와 타협 ▲투명과 공정 ▲분권과 자율로 정해졌다.
인수위는 "참여정부는 국정원리와 국정목표라는 두축을 중심으로 운영되며 국정목표와 국정원리가 각각 하나의 바퀴가 돼 노무현 정부를 이끌어가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성 위원은 "국정운영에서 원칙과 신뢰는 제 1의 원리로 관철돼야 한다"면서 "모든 일에는 우선 원칙을 세워야 하며 그 원칙은 국민들의 신뢰를 얻는 것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4대 국정원리중 공정과 투명은 경제분야, 대화와 타협은 정치분야, 분권과 자율은 사회분야에 대표적으로 적용되는 개념이 된다고 인수위는 덧붙였다.
성 위원은 당초 정부명칭 공모에서 다수가 제안한 국민참여 정부에서 `국민`이 빠진 이유에 대해서는 "참여라는 개념을 보다 명확하고 분명히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종철 기자 kjc01@epayge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