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금융회사들은 인건비 감축과 고용유연화를 꾀하기 위해 정규직보다 비정규직의 채용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이하 금융노조)은 ‘금융노조 비정규직 조직화 방안’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비정규직 비율은 외환위기 이전에 5% 내외였으나 현재 30%를 넘어서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외환위기 이후 경영개선을 이유로 정규직을 대거 정리했기 때문.
지난해 금융노조 조사에 의하면 총 33개 사업장의 노동자수는 모두 12만5104명였으며 이중 정규직은 9만6929명, 비정규직은 2만8175명으로 29.1%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각 지점에서 채용하는 파트타이머 등을 포함하면 훨씬 이보다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각 지점에서 지점장의 재량에 의해 채용하는 파트타이머는 통계에 잘 잡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금융노조는 비정규직의 업무는 대개 비전문분야와 단기 및 특수분야를 중심으로 정규직 인력을 지원 또는 보완하는 업무지만 이러한 업무가 계속적으로 일어나는 일이라면 정규직으로 전환해 고용안정을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금융노조는 또 그러나 현재 일부 사업장의 비정규직 임금은 정규직의 30∼40% 정도에 불과하며 고용불안정 뿐만 아니라 제반 임차주택 등 기업복지로부터 완전히 소외돼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앞으로는 금융산업 사용자들은 핵심인력만 고임금의 정규직으로 채용하고 나머지는 저임금의 계약직 등 비정규직 채용을 꾸준히 늘리려 한다는 데 심각성은 더 크다고 지적했다.
금융노조 공광규 정책실장은 “비정규직의 노동조건을 향상시켜 정규직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과 비정규직의 최소한 권익을 정규직이 나서서 보장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정규직 노동자들의 노동조건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며 “따라서 사업장지부·산별노조 가입 또는 산하 별도지부 마련 및 비정규직 통합지부 등의 신설이 시급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김영수 기자 kys@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