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증권사들은 조만간 공동 백업을 구체화시킬 계획도 갖고 있지만 SI 업체 등 관련업계에서는 각 회사별로 상이한 일정과 전산 환경 등을 이유로 들어 이 방안이 실현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4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중소형사들이 공동 백업을 통해 비용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지만 실제 이를 구현할 방안을 찾지 못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에서도 지난해말 금융기관으로부터 백업시스템 구현 계획안을 거두면서 공동 백업 방안을 물어왔지만 마땅히 이에 대한 답을 제시한 곳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증권업계에서는 SK 교보 제일 서울 신한 메리츠 한국투신 정도가 공동 백업을 추진할 수 있을 만한 회사라고 꼽고 있다. 이들 회사의 규모와 시스템 환경이 비슷하고 SK-교보-제일증권과 신한-메리츠 증권은 공동으로 보안컨설팅을 받은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SK-교보-제일증권은 지난해 공동 보안컨설팅을 받으면서 컨설팅이 성공적으로 끝나면 이후 또 다른 전산 프로젝트도 함께 추진해 비용 등에서 시너지 효과를 거둘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한 중형 증권사 관계자는 “각 회사별로 사정이 저마다 달라 공동으로 백업시스템을 구현하는게 결코 쉽지 않겠지만 궁극적으로는 이를 심각하게 고려해봐야 한다”며 “하지만 증권사들이 공동 백업을 한다 하더라도 업체들이 이를 서비스해 줄 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백업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련 업체들은 공동 백업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공동 백업시스템을 구축하려면 서로의 전산시스템 정보와 운용 부문, 보안시스템을 공유해야 하고 일정도 맞춰야 하는데 올해 12월말까지 이런 사항을 만족시키면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공동 백업을 주도하는 증권사나 업체가 없는 것도 문제다. 한 SI업체 관계자는 “증권사들이 비용절감을 위해서 공동 백업을 해야 한다는 데는 공감하고 있지만 ‘중이 제 머리 못 깎는다’는 속담이 있듯이 어느 한 증권사가 선뜻 나서서 백업을 같이 하자고 하기 어려워 하는 상황”이라며 “증권전산 등이 주도적으로 나서지 않으면 불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미선 기자 una@fntimes.com